한국이 만든 뮤지컬 ‘위대한 개츠비’ ...‘3전 4기’ 브로드웨이 도전
입력
수정
이 소설을 뮤지컬로 각색한 작품이 미국 무대에 올랐다. '가장 미국적인 작품'답게 제작진도, 등장배우도 거의 다 미국인이다. 하나 특이한 건, 이 모든 걸 기획하고 꾸려나가는 총괄 프로듀서가 한국사람(신춘수 오디컴퍼니 대표)이란 점이다. '위대한 개츠비'의 첫 공연이 열린 지난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저지 밀번의 공연장에서 만난 신 대표는 "미국인들에게 남다른 의미를 지닌 이 작품을 들고 세계 최고 뮤지컬 무대인 브로드웨이 문을 두드릴 것"이라며 "완성도가 높아 투자자들의 반응이 괜찮은 만큼 내년 상반기엔 입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2주치 공연 전석 매진
미국의 뮤지컬 시장은 한국과 다르게 돌아간다. 한국에서 작품을 준비할 때는 서울에 있는 공연장과 공연 기간부터 정하는 게 순서다. 서울에서 인기를 끌면 부산, 대구 등 지방을 돈다.미국은 반대다. 먼저 각 지역 공연장에서 관객 반응을 살펴보고, 그에 따라 공연 내용을 수정하면며 완성도를 높인다. 이를 시험 공연이라는 의미의 '트라이아웃(Try-out)'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인기를 얻으면 브로드웨이 밖에 있는 공연장인 '오프 브로드웨이'를 거처 브로드웨이 극장으로 진출하거나, 곧바로 브로드웨이로 간다. '오페라의 유령'이나 '라이언 킹'처럼 인기 있는 뮤지컬은 10년 넘게 공연하지만, 반응이 시원치 않으면 얼마 못가 간판을 내린다. 뮤지컬 '위대한 개츠비'는 밀번의 '페이퍼밀 플레이하우스'에서 지난 22일부터 2주간 시험 공연을 시작했다. 1200석짜리 극장이 공연을 시작하기도 전에 '완판'됐다. 이 극장이 문을 연 1934년 이후 이런 적은 거의 없었다고 한다.
신 대표는 "미국의 트라이아웃 극장은 공연장을 빌려줄 뿐 아니라 작품에 직접 투자하고 이후 수익을 나누는 구조"라며 "그래서 작품을 깐깐하게 고른다"고 설명했다. '위대한 개츠비'는 제작비 350만달러(약 47억4000만원) 중 120만달러를 극장에서 투자했다. 통상 뮤지컬 한 편 제작비가 200만달러 선인 점을 감안하면 전체 투자 금액도 많고, 극장이 투자한 비율도 높은 편이다. 그만큼 성공 가능성을 높게 봤다는 얘기다.
○'3전 4기' 브로드웨이 도전
신 대표의 브로드웨이 도전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9년 '드림걸즈'의 공동 프로듀서로 일할 때부터 계속 두드렸다. 직접 제작에 뛰어든 건 2012년 '요시미 배틀스 핑크 로봇'의 시험공연이 처음이었다. 이후 2014년 '홀러 이프 야 히어 미' 2015년 '닥터 지바고' 등으로 브로드웨이에 입성했다. 하지만 다 실패했다. 거액의 투자금을 날렸고, 회사는 위기에 빠졌다. '지킬 앤 하이드' '데스노트' 등 국내에서 '대박' 뮤지컬들을 잇따라 내놓은 그에게도 브로드웨이의 문턱은 높았다.그는 왜 잇따른 실패에도 불구하고 브로드웨이에 도전할까. 신 대표는 "뮤지컬 제작자의 머릿속에 브로드웨이가 없다는 건 큰 꿈과 목표가 없다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했다. 한국 뮤지컬도 잘 가꾸면 가요나 드라마, 영화처럼 세계무대에서 충분히 통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브로드웨이에서 성공하면 전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습니다. 한국 제작자가 브로드웨이에서 성공하는 사례가 나오면 작가와 작곡가, 안무가, 배우 등 창작진들도 미국으로 진출할 수 있겠죠.
아시아계 제작자가 브로드웨이를 휩쓴 첫 사례를 만들어 'K뮤지컬' 시대를 열어 나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