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6억 이하 소형 아파트 더 줄었다…거래 비중 '역대 최저'
입력
수정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 분석
올해 1~9월 6억원 이하 소형 아파트 거래 비중 42%
"1·2인 가구 증가·상대적으로 낮은 진입장벽 영향"

26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들어 9월까지 서울 소형 아파트 거래량 1만3314건 중 6억원 이하 거래량은 5697건으로 전체의 42.8%를 차지했다. 국토교통부가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1~9월 기준) 이래 가장 낮다.6억원 이하 소형 아파트 거래 비중은 2016년 이전에는 90%대의 수준을 보였지만, △2017년 88.5% △2018년 82.8% △2019년 70.4% △2020년 63.4% △2021년 48.0%로 하락했다. 지난해엔 64.7%로 상승했지만, 올해 역대 최저 비중을 기록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1·2인 가구 증가로 소형 아파트 수요가 늘어난 데다 금리 인상의 여파로 대출이자 부담이 커져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소형으로 몰려 중저가 거래도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