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림트 ‘키스’ 속에 울려퍼지는 베토벤 ‘합창’ 그리고 프리즈

[arte] 이동조의 나는 무대감독입니다
건축과 관련된 용어로 사용되는 말이기도 하며 미술 작품의 형식을 표현할 수도 있는 말인 ‘프리즈’.

이 말을 이해하고 접근하기 위한 가장 쉬웠던 단어는 ‘처마’였다. 처마에 달려 묵묵히 잘랑거리다 바람을 피해 짤랑거리고 비를 만나면 찰랑거리는 풍경 소리가 담은 무수한 이야기. 그 이야기를 처마 바로 위 혹은 바로 아래, 양각의 조각들로 혹은 문자로 새긴 이야기로 건축물의 한 바퀴를 돌아오면, 같은 듯 다른, 다른 듯 같은 삶의 이야기들이 마치 무한궤도처럼 영속하는 모습을 띠며, 아름다운 혹은 추한 착각에 빠질 수도 있음을 의도하는 일. 프리즈를 이해했던 가장 빠른 길이었다.
오스트리아 빈에 위치한 미술관 제체시온 정면 사진
2011년 7월 20일, 오스트리아의 빈을 여행하며 구스타프 클림트의 작품 「베토벤 프리즈」를 소장하고 있는 미술관 ‘제체시온’을 찾았다. 지하로 내려가 들어선 전시공간의 인상을 여행이 끝나고 정리해 두었다. 오늘보다 12년 젊었던 그 청춘의 기록을 옮겨본다.

하얀 외관의 건물, 하행하는 하얀 계단. 전시공간이라고는 느껴지지 않는 하나의 방. 그 방으로 들어서면 세 벽면을 돌아가며 마치 이야기를 지닌 듯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

누군가가 부유하는 듯한 왼편의 긴 그림, 형형색색의 마치 괴물 같은 다양한 인간과 반인반수의 그림이 그려져 있는 정면, 클림트의 그 유명한 ‘금색’이 반짝반짝 빛나고 있는 듯한 오른편의 벽에는 눈을 감은 천사들이 발을 쫑긋 세우고 마치 천국의 파수꾼처럼 조용히들 잠을 자는 것 같다.이건 뭘까? 베토벤 「합창」교향곡 4악장과 이건 무슨 관계가 있는 건데? 하지만 일단 내가 알지 못하는, 왜인지 모르겠는, 작은 전율이 몸을 타고 흐른다. 그리고 여행을 함께한 힙한 얼리 어답터 지인이 자신의 귀에서 이어폰 하나를 내 귀에 나누어주고, 그 자리에 함께 앉아 이십오 분 정도인 베토벤 교향곡 9번 4악장을 고스란히 들었다.

그 순간을 돌이켜보면, 음악을 좋아하는 한 청자의 음악 여정을 되돌아보게 할 만큼의 강렬한 자극으로 기억한다. 베토벤 교향곡 9번「합창」 4악장의 뒤로 더러움, 욕망, 허영, 욕심 따위가 존재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다. 마치 음악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을 듯한 베토벤의 기세가 고스란히 보이는 것 같은 음악들의 강렬함. 듣고 나면 그 음악의 틀이 너무 완벽해 마치 그가 쳐놓은 음악의 덫에 흠뻑 빠져, 듣고 나면 허탈함마저 느끼게 되는 경우가 얼마나 많았던지.

베토벤 9번 교향곡 4악장 역시 다르지 않았다. 자신의 마지막 교향곡 4악장에 도입한 합창의 놀라움은, 지금도 가끔 정말 초연 당시의 청자라도 된 것처럼 소스라치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지.베토벤 교향곡 9번을 듣고 아이디어를 떠올렸다는 구스타프 클림트. 그가 가진 그 여유로움이 한없이 부러웠다. 자신의 전매특허인 황금색과 키스에 도달하는 그 긴 여정을 총 34m의 길이의 석고 벽면에 고스란히 그림으로 이야기를 담을 수 있는 여유. 클래식의 완성을 향해 가던 ‘고전’이라는 시기와 그 시기의 정점을 수놓았던 베토벤의 이름이 주는 위압에 혹시 나는 다른 생각을 할 겨를이 없던 것이 아닐까?

희망이라는 금색의 키스에 처음에는 음악만으로, 그다음은 음악과 언어를 합하여 도달하는 질주의 예술가인 베토벤과, 높은 곳에 도달하는 그 과정이 항상 아름답지만은 않다는, 더러울 수도, 허영일 수도, 욕심일 수도 있는, 마치 아름다움은 반드시 그 뒤로 추함을 거쳐야 한다는 것처럼 여유로운 클림트. 예술의 한 작품으로 꿈꾸는 이상의 종착점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조우하는 두 예술가의 아름다움을 느끼는 일이 나의 전율을 설명하는 것이 아닐까? 이렇게 생각을 맞춘다.
제체시온 미술관 베토벤 프리즈 오른쪽 벽면 ‘황금색의 키스’
작곡가 구스타프 말러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읽기 시작한 옌스 말테 피셔 지음의 도서『구스타프 말러-현대 음악의 경계를 걸어간 작곡가』. 구스타프 말러의 오스트리아 빈 생활을 다루는 장 「서기 1900년경의 빈」에는 1902년 탄생한 구스타프 클림트의 작품 「베토벤 프리즈」를 친절히 설명해주는 부분이 등장한다. 감성 가득했던 제체시온의 하루를 차분히 정리하는 뜻밖의 만남이기도 했다. 그 일부를 인용해 본다.
베토벤 프리즈를 구상하면서 구스타프 클림트가 의도했던 것은 무엇보다도 고독한 천재 예술가가 그를 둘러싼 세상 대부분의 몰이해와 증오를 상대로 벌이는 투쟁을 그려 내는 것이었다. 이 프리즈가 묘사하는 줄거리의 진행 단계가 이를 암시한다.

압축해서 표현하면 그 진행 단계는 다음과 같다. 행복에 대한 동경- 약한 인류의 수난–강한 인간에게, 즉(강한 예술가를 상징하는) 기사의 모습을 한 인물에게 약자들을 위하여 행복을 위해 대리 투쟁을 해달라고 부탁함–이 기사와 약한 인류를 가로막는 적대적인 세력들–질병, 광기, 죽음 그러나 인류는 이것을 이상에 대한 동경으로 극복한다–예술은 마침내 이상적인 왕국으로 나아간다.

그리고 마지막 그림은 베토벤 9번 교향곡에서 종결부 합창의 가사로 사용된 실러의 「환희에 바치는 송가」를 묘사하는 것이라고 한다.
클림트&뮤직콘서트 ©앰버린.Inc.
세 개의 벽과 화가 클림트의 작품들이 만나는 광경을 다시 보게 된 것은 2019년 10월 12일 「클림트 & 뮤직콘서트」라는 공연에서였다. “프로젝션 매핑을 통해 구스타프 클림트의 작품을 새롭게 재해석 및 디자인하고, 음악과 미술이 조화되어 관객에게 새로운 예술적 경험을 선사한다.”

공연 홍보의 이 문구처럼 600석 규모의 공연장 세 벽면뿐 아니라 무대마루까지 마치 화가의 도화지 같은 역할을 했던 이 음악회의 모습을 지켜보며 혹시 1902년의 「베토벤 프리즈」를 오늘 현재의 모습으로 다시 해석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했다.

자연스레 더 광활한 공간에서는 어떠한 모습이 구현될 수 있을지 궁금했다. 지휘자 마이클 틸슨 토마스와 샌프란시스코 심포니 오케스트라가 함께 구현한 작곡가 존 아담스의 작품 「Short Ride in a Fast Machine」 연주는 프로젝션 매핑이 콘서트홀에서 어떻게 표현될 수 있는가에 대해 좋은 본보기가 되어 준다.



한국의 청중들이 사랑하는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의 시간이 다가온다. 감명 깊었던 공연을 오래오래 마음속에 담아두고 싶은 욕심처럼, 감명을 받을 공연을 예상해보고 추측해 보는 재미 역시 쏠쏠하다. 지휘자 마이클 틸슨 토마스와 샌프란시스코 심포니 오케스트라가 연주한 영상의 내용을 베토벤과 클림트로 치환해보는 상상은 어떨까.

프리드리히 실러의 「환희의 송가」에 등장하는 가사. “환희여! 아름다운 신의 불꽃이여! 이는 전 세계의 입맞춤이어다.” 그 송가를 위해 음악을 띄우는 지휘자와 오케스트라 그리고 성악가와 합창단. 프로젝션 매핑을 통해 무대와 객석 위 공간을 한없이 맴도는 클림트의 작품들. 청중은 그 순간 지금까지 느껴보지 못했던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이 발산하는 또 다른 매력을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건축물의 한 바퀴를 두르며 연결되는 띠 구조의 프리즈를 바라보며 기원하고 희망하는 결론적인 질문은 그것일 것 같다. “그래 그럼 그 띠가 풀리면?”. 벽면을 수놓은 자수처럼 형형색색으로 아름다웠던 오스트리아 빈에서 만난 프리즈. 클림트의 작품들에 시각적인 역동성을 더해 무대를 수놓았던 600석 규모 극장에서의 음악회, 오늘 상상해보는 광활한 콘서트홀에서의 공연까지.공교롭게도 한국인이면 모두 지니게 되는 동물 이름의 시간 기준인 12년의 이야기. 물론 베토벤의 교향곡 9번 「합창」을 사랑하게 된 시간은 그 시간을 훌쩍 넘으며 계속되고 있다. 띠의 구조가 갖는 프리즈의 매력은 유한하며 닫혀 있지만 순환하는 것이기에 연속성과 확장성 역시 가질 수 있다고 하는데, 차근차근 베토벤 교향곡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더해 가면 어디에 다다를 수 있을까?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 『테넷』의 도입부에 등장하는 극장의, 마치 두꺼운 셔터처럼 통째로 여닫히는 객석과 로비를 잇는 문. 앞으로 베토벤의 교향곡 9번「합창」을 더욱 사랑하게 되는 과정에는 콘서트홀의 천정마저 열리는 아름다운 착각을 만날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