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시설 6000가구…용산업무지구 개발 '시동'
입력
수정
지면A23
코레일 "내달 사업계획 발표"서울의 마지막 ‘금싸라기 땅’으로 불리는 용산정비창 부지를 국제업무지구로 변모시킬 개발계획이 다음달께 공개될 예정이다. 전체 부지의 70% 이상을 초고층 업무·상업시설로 채우고 주거시설은 6000가구가량 조성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마스터플랜(조감도)이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민간 주도 사업이 좌초된 지 10년 만이다. 내년 개발구역 지정을 시작으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용산정비창 부지 50만㎡ 규모
서울시, 내년 구역지정 고시
2025년 기반시설 공사 착수
전체 부지 70% 업무·상업시설
100층 초고층 계획 유지될 듯
“2025년 기반시설 공사 착수”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30일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을 연내 확정하고 사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은 용산정비창 부지 약 50만㎡를 국제업무단지와 주거지, 공원녹지 등을 갖춘 융복합 지구로 개발하는 사업이다. 당초 2007년부터 민간사업으로 추진됐지만 시행사(드림허브)가 2013년 부도를 내면서 장기 표류했다. 2021년 공공기관 주도로 사업을 전환한 뒤 코레일과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각각 지분 70%와 30%를 확보한 시행사로 사업을 재추진했다.
업계에 따르면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계획은 이르면 다음달 중순께 발표될 예정이다. 서울시와 사업시행자 코레일, SH공사 등이 에너지와 물류, 폐기물 처리시설 등 도시 기반시설을 조성한다. 기반시설 위에 조성될 건축물 가이드라인을 사업계획에서 제시할 방침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연내 시행자가 구역 지정 제안을 하고 개발계획 도서가 접수될 예정”이라고 말했다.인·허가권자인 서울시는 내년 상반기에 구역 지정과 개발계획을 고시한 뒤 이를 기반으로 수립된 실시계획을 2025년 상반기에 인가할 방침이다. 이렇게 확정된 지구단위 계획을 기반으로 사업시행자는 2025년 하반기에는 기반시설 공사에 착수하고 토지 공급을 시작한다. 2028년까지 기반시설을 준공한다는 게 코레일의 구상이다. 지난해 8월 마스터플랜 발표 때 공개한 계획보다 1년가량 늦춰졌다.
100층 계획은 유지될 듯
오세훈 서울시장이 재선에 성공한 지난해 마스터플랜 발표 이후 개발 사업이 궤도에 올랐다. 마스터플랜에는 24시간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융복합 국제도시’, 삶의 질을 높이는 ‘녹지생태도시’, 세계로 연결되는 사통팔달의 ‘입체교통도시’, 스마트기술 혁신의 전진기지인 ‘스마트도시’로 건설하겠다는 계획이 담겼다.구체적으로 전체 부지의 70% 이상을 초고층 업무·상업시설 등 비주거 용도로 채우고 아파트 등 주거시설은 6000가구가량 조성한다는 안이다. 코레일과 SH공사 등 공공이 5조원을 투입해 부지를 조성하고 인프라를 구축한 뒤 민간이 부지를 차례로 개발하는 방식이다.서울 최초의 ‘입지규제최소구역’으로 지정해 용적률 1500%를 웃도는 초고층 건물이 들어서도록 하는 내용도 담겼다. 또 50% 넘는 녹지율을 확보하고 용산공원과 한강으로 뻗어나가는 방사형 녹지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차량이 지하로 달리는 지하 교통체계 구축도 포함됐다.
개발계획에서는 당초 구상에 담긴 100층 건축물 계획이 그대로 유지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평균 용적률 900%를 부여하되 도시혁신공간 도입에 따라 용적률을 최고 1500~1600%까지 지정할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대지는 어떻게 입체적으로 구성되는지, 사람과 차는 어디로 다니는지, 즐길 거리는 어떤 것이 배치되는지 등이 담길 예정”이라고 말했다.
코레일은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을 통해 취약한 재무구조 개선에 나설 방침이다. 한문희 코레일 사장은 “정비창 부지 개발은 코레일의 재무구조 개선과 철도안전 투자의 구심점이 될 중요한 사업”이라며 “이번 사업으로 지속가능한 수익모델을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코레일은 이 사업을 통해 2026년 흑자 전환하고 220.6%(지난해 말 기준)에 이르는 부채 비율을 100%대로 떨어뜨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서기열/박진우 기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