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점·구식 조달 관행에 경쟁력 잃어가는 美군수업체들

방산시장 넘보는 빅테크
사진=AP연합뉴스
수십 년에 걸친 과점체제 속에서 수익을 누려온 미국 주요 방산업체들이 시장 주도권을 빼앗길 위기에 처했다. 현대 전투 방식과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는 미 국방부의 군수품 조달 관행이 '속도전'으로 전환하고 있는 가운데 아마존·마이크로소프트(MS) 등 최신 기술력으로 무장한 빅테크 등의 민간업체들이 이들 시장을 넘보고 있어서다. 기존 관행에 안주해온 주요 군수업체들의 경쟁우위가 약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과점시장서 막대한 수익 누려온 美군수업체들

1일(현지시간)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냉전 종식 이후 미국 방산업체들은 통합돼 과점 체제로 고착화됐다. 1950년대 50여 개에 달하던 방산업체들은 6개로 줄었다. 미국 국방부는 무기 조달 및 연구개발 예산으로 3150억 달러를 쏟아붓고 있다. 이 중 대부분은 국방부와 직접 거래하는 소수의 군수업체들에게 돌아간다. 따라서 이들 방산업체들은 이익이 급성장하지 않지만 수십년에 걸친 대규모 계약 덕분에 안정적인 수익을 누린다. 실제로 록히드마틴, 제너럴 다이내믹스, 노스롭그루먼 등 주요 방산업체들의 주가는 시장 수익률(S&P500)을 웃돌았다. 지난 4월 미 국방부가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2000~2019년 방위산업체들은 민간업체 대비 주주 수익률, 자산 수익률, 자기자본 수익률 등에서 우위였다.
출처=이코노미스트, 레피니티브데이터스트림
미 국방부는 군수업체들의 R&D 비용에 10~15%를 추가 지불하는 '비용 플러스' 방식으로 조달계약을 맺어왔다. 군수업체 입장에선 불확실한 기술에 투자하지 않아도 되고, 정해진 시간과 예산에 맞춰 군수품을 납품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록히드 마틴 매출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F-35 전투기 제작 프로젝트는 1990년대에 시작됐지만 이같은 관행에 10년 정도 지연되고 있다. 노스롭그루먼이 개발 중인 B-21스텔스 폭격기도 30년에 걸쳐 100대를 납품하는 데 2000억 달러 이상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빅테크 등의 가세 속 경쟁우위 약화

미국 국방부는 이같은 조달 방식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이다. 이코노미스트는 "현대 전투가 점점 더 작고, 단순한 전술 장비와 통신, 센서,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에 의존하고 있다"며 "비용 대비 효율이 더 좋기 때문에 군산복합업체를 선호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군수업체들과 민간기업들이 손을 잡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제너럴 모터스(GM)는 지난 2020년 독일무기업체 라인메탈의 미국지사와 함께 군용 트럭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팔란티어는 일상생활은 물론 현대전투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소프트웨어를 함께 만든다. 스페이스X는 돈을 받고 우크라이나 군대에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 기업들도 방산시장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이들은 국방 및 보안 분야를 유망시장으로 주목하고 있다. 빅테크업체들의 수익 변화를 가져올 만큼 큰 규모를 자랑하는 '드문 시장'이기 때문이다. 이들 업체는 소프트웨어 제조업체인 오라클과 함께 90억 달러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계약을 체결했다. MS는 군대에 증강 현실 고글을 공급한다.

신생 방산업체들도 몸집을 키우고 있다. 소프트웨어 플랫폼 개발업체인 안두릴은 단거리 드론 '고스트'를 제작하고 있다. 최근 로켓 엔진 제조업체를 인수한 데 이어 호주 해군을 위한 수중 자율 선박을 개발 중이다. 미 국방부가 신속한 실험과 생산, 실전 배치를 요구하고 나서면서 이들 군수업체들의 고민이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 이코노미스트는 보잉이 미국 대통령을 태우고 다니는 'KC-46 탱커'와 '에어포스원' 조달을 두고 고정가격 계약을 맺었지만 치명적인 저가입찰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싱크탱크인 애틀랜틱카운슬의 스티브 그루드먼은 "대량의 하드웨어(무기)를 느리게 생산해온 이들 기업에게 이같은 변화는 수용하기는 힘든 일"이라고 설명했다.

안상미 기자 sara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