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고개드는 인플레 우려…10월 소비자 물가 3.8%↑
입력
수정
통계청 소비자물가동향 발표10월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3.8% 상승하며 3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예상치 못한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으로 국제유가가 반등한데다 이상기온으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든 것이다. 정부의 올해 물가 전망치(3.3%)가빗나갈 가능성도 커졌다.
○이상 기온에 농산물 13.5% 올라
2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0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3.37(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3.8% 상승했다. 지난 6월(2.7%)과 7월(2.3%) 2%대로 내려앉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8월 3.4%, 9월 3.7%에 이어 10월엔 상승폭을 더 키운 것이다.물가 상승세는 생활물가가 주도했다. 구매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4.6% 상승하며 9월(4.4%)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지난해 7월 7.9%로 정점을 찍은뒤 올해 7월 1.8%까지 떨어졌던 생활물가지수는 8월 3.9%로 반등한 뒤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기상 악화로 사과(72.4%), 상추(40.7%), 토마토(22.8%)등 신선 과일·채소류 가격이 급등한 영향이 컸다. 농산물 전체로는 1년 전보다 13.5% 뛰면서 2021년 5월(14.9%)이후 29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사과 등 신선과일류는 26.2% 상승하며 2011년1월(31.9%) 이후 12년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가공식품(4.9%), 외식물가(4.8%)도 전체 물가 수준을 끌어올렸다.
전기료(14%)가 크게 오르며 전기·가스·수도 물가가 9.6% 상승했다. 시내버스료(11.3%), 택시료(20%)등 대중교통비 인상 여파가 반영되면서 공공서비스 물가도 2.1% 올랐다. 2021년 10월 이후 2년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안정되는듯했던 석유류 물가도 다시 불안해졌다. 석유류 가격은 전년동월대비 1.3% 하락했지만, 하락폭은 9월(-4.9%)보다 크게 줄었다. 전월 대비로는 1.4% 상승했다.
○정부 “예상보다 하락 속도 완만”
정부가 지난 7월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제시한 올해 물가 전망치는 3.3%다. 하지만 올들어 10월까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7%로 전망치보다 0.4%포인트 높다.
최근까지도 낙관론을 폈던 정부도 신중론으로 바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이날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국내 물가는 중동지역 지정학적 리스크와 이상저온 등으로 당초 예상보다 하락 속도가 더 완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지난달 5일 기자간담회에서 “10월, 11월에 가면 물가 상승률이 3%대 초반으로 안정될 것”이라고 했던 것과 차이가 있다. 장보현 기재부 물가정책과장은 브리핑에서 “10월 중하순부터 농산물 수급이 개선되고 있어 연말 물가 상승률은 지금보다는 낮은 3%대 초중반으로 내려가지 않을까 싶다”면서도 “국제유가가 중동지역 상황 전개에 달려 있어 변동성이 크다”고 했다.추 부총리는 “모든 부처가 물가 안정을 정책의 최우선 순위에 두는 범부처 특별물가안정체계를 즉시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김장철 먹거리 가격안정 방안’을 내놨다. 우선 역대 최대 규모인 총 245억원을 투입해 배추, 무, 고춧가루 등 14종 김장 재료를 할인 판매하고 1만t에 달하는 비축 물량을 풀어 소비자 가격을 최대 60% 낮추겠다고 밝혔다.
바나나, 망고, 전지·탈지분유 등 8개 품목은 할당관세를 적용해 관세를 낮추기로 했다. 올해 연말 종료 예정이던 농산물 의제매입세액공제 혜택을 최장 3년(연매출 4억원 이하 영세 개인음식점) 연장하고 공제 한도는 10%포인트 상향조정하기로 했다. 의제매입세액공제는 식재료 구입비 일부를 세금에서 빼주는 제도다.
또 커피, 코코아 같은 수입품과 김치 등 가공식료품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제를 2025년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올해 겨울철 기초생활수급가구 등을 위한 에너지 바우처와 가스요금 할인은 지난해 대폭 확대했던 수준을 유지하기로 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