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적 한국 춤'으로 재탄생한 100년 전 한국풍속화 '엘리자베스 기덕'
입력
수정
서울시무용단 신작 '엘리자베스 기덕'작품의 모티브가 된 영국인 화가와 그가 남긴 그림들을 잘 모른다면, 조금은 예습하고 공연장에 들어서는 게 좋겠다. 공연의 내용을 보다 잘 받아들이면서, 무대에 몰입해 감상하는 데 도움이 될까 싶어서다.
정혜진·김성훈 안무···무용예술로 재해석
지난 2일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개막한 서울시무용단의 신작 ’엘리자베스 기덕‘은 스코틀랜드 태생인 엘리자베스 키스(Elizabeth Keith, 1887~1956) 이야기다. 공연장에 들어서면 거대한 두루마리 형상의 무대 세트 배경에 적힌 키스의 영문 이름이 눈에 띈다. 공연이 끝날 즈음엔 이 이름 위로 ’기덕(奇㥁)‘이란 글자가 한자로 덧입혀져 있다.이 작품은 키스가 1919년 봄, 식민지 조선에 처음 방문했을 때부터 1934년 경성에서 연 두 번째 전시회 때 ’기덕‘이란 한국식 이름으로 낙관을 변경했을 무렵까지 다룬다. 이 시기에 키스가 그린 한국 풍속화들과 친언니에게 보낸 편지 내용을 바탕으로 그가 만났거나 관찰한 사람들과 사건들, 풍경들을 새롭게 구성했다. 이를 통해 키스가 한국에 대해 느낀 연민의 감정과 사랑, 그의 시선으로 바라본 한국인들의 모습을 영상과 음악, 무용수들의 몸짓이 절묘하게 어우러지는 무대예술로 표현했다.올해 재연과 뉴욕 공연까지 성공리에 마친 ’일무‘에서 안무 호흡을 맞춘 서울시무용단장 정혜진과 현대무용가 김성훈이 이번 작품에서도 협업했다. 두루마리 형상의 무대에 키스가 그린 한국 풍속화를 해체하고 재조합해 만든 영상을 배경 삼아 서울시무용단의 무용수들이 전통의 품위와 현대적인 멋이 공존하는 춤을 펼쳐낸다.
‘정월 초하루 나들이’ ‘신부’ ‘과부’ 등 키스가 그린 그림 속 인물들이 무대에서 되살아난다. 일본군에 잡혀간 신랑 없이 신혼 첫날밤을 홀로 지새우는 신부. 그림 속에서는 마냥 앉아 기다리는 정적인 모습이지만 무대에서는 절제된 전통의 몸짓으로 외로움을 달래는 듯한 독무를 추기도 한다.키스가 금강산에 유람하러 가서 만난 과부. 독립운동하던 남편은 죽었고, 아들도 일본군에 끌려간 데다, 자신도 고문당하고 풀려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상태다. 타고난 기품으로 평온하게 앉아 있는 그림 속 자태처럼 무대에서도 의연하고 꿋꿋하게 삶의 고난에 맞서는 독무를 보여준다.키스의 시선에 맞춰진, 역경과 시련에 맞서는 한국인들의 모습은 주로 현대적인 군무로 표현된다. 군무를 추는 무용수는 11명, 13명, 17명 등 홀수다. 전통춤들에 기대하는 ‘칼군무’가 아니라 나름대로 질서는 갖췄지만, 보다 자유롭고 틀에 얽매이지 않은 듯한 현대적인 춤을 보여준다.
공연의 마지막 장면이자 하이라이트인 ‘만세 군무’가 대표적이다. 이 작품에서 가장 많은 인원인 17명의 무용수가 함께 추는 이 춤은 내용적으로는 시대상과 민족의 열망을 담아내는 듯하면서도, 정형화되지 않은 현대적인 동작으로 키스의 마음도 대변한다.100년 전 키스가 바라본 이 땅의 모습과 그의 예술세계를 한국 춤을 중심으로 한 현대적인 무대 예술로 재해석해 풀어낸다. 참신하면서도 독특한 재미를 준다. 다만 공연 내내 흐르는 키스의 영어 내레이션은 다소 낯설고 불친절하다. 일부 긴 대목은 한국어 번역 자막이 배경에 뜨지만 그나마 좌석 위치에 따라 잘 보이지도 않는다. 내레이션이 단순한 배경음이 아니라 작품의 서사를 진행하는 용도로 쓰였다면 그 의미를 보다 명확하게 관객에게 전달했어야 했다.
송태형 문화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