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락·급등 어질어질, 크게 출렁이는 증시…"대형주·배당주가 멀미 덜해"
입력
수정
지면B1
안정적 포트폴리오로 변동성 대응
실적개선 반도체·자동차 등 대형주
배당 매력 여전한 보험·은행주 주목
○美 국채금리에 일희일비하는 증시
지난달 국내 증시는 미국 국채 금리가 상승하면서 약세를 이어왔다. 미국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지난달 4일 연 4.81%에서 26일 4.95%까지 뛰었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는 4.4% 하락하며 2300선이 무너졌다. 통상적으로 안전 자산인 채권의 기대 수익률이 높아지면 위험 자산인 주식은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떨어지게 돼 증시에 악재가 된다.
하지만 이달 들어 분위기가 바뀌고 있다. 지난달 2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2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금리 인상 국면이 마무리됐다는 전망이 많아졌다. 국내 증시를 떠나던 외국인도 돌아오고 있다. 외국인은 지난 10월 유가증권시장에서 2조9441억원을 순매도했지만, FOMC 이후인 지난 2~3일은 2740억원을 순매수했다.2차전지주는 급등락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포스코홀딩스는 지난달 23.08%, 포스코퓨처엠은 34.2% 급락했지만 11월 들어서는 1~3일 동안 각각 6.4%, 13.7% 상승했다. 금리에 민감한 성장주도 변동성이 큰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22.2% 하락한 카카오뱅크는 지난 1~3일 16.1% 올랐고, 27.5% 하락한 두산로보틱스 역시 1~3일 20.2% 상승했다.
증권가에서는 한동안 국내 증시가 미국 국채 금리 영향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보고 있다. 정용택 IBK수석연구원은 “국내 경제 지표가 회복되고 있지만 아직 그 정도가 크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원·달러 환율도 엮인 만큼 당분간 미국 국채 금리의 영향을 피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대형주·배당주 변동성 대비
배당주 역시 안정성 측면에서 선호되고 있다. 금리 상승 전망이 꺾이며 보험주, 은행주 주가가 조정받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여전히 배당 매력이 크다는 분석이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BNK금융지주의 올해 예상 배당수익률은 9.1%에 달한다. 최근 1개월(10월 4~11월 3일) 동안 주가는 0.59% 상승해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우리금융지주(8.8%), DGB금융지주(8.8%), 기업은행(8.7%) 등도 높은 배당수익률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