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의 도시' 베를린은 AI 아티스트를 어떻게 끌어안는가
입력
수정
[arte] 변현주의 Why Berlin최근 SNS에서 유행한 AI 졸업사진(yearbook)처럼 우리 삶 속에 AI(Artificial Intelligence) 프로그램은 생각보다 깊이 스며들어 있다. 창작의 영역이라 여겨지는 미술에서도 AI가 활용된 작업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난 2022년 비디오 게임 디자이너 제이슨 알렌이 AI 그림 프로그램인 미드저니(MidJourney)를 이용해 만든 그림이 콜로라도 주 페어에서 1등을 한 일은 큰 충격을 주었고, 뉴욕 모마(MoMA)에서 전시되어 화제가 된 <Unsupervised>는 아티스트 레픽 아나돌이(Refik Anadol) 만든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모델을 통해 미술관 소장품을 재해석한 작품이다.
건축과 공간 활용한 로렌스 렉의《NOX》전시
그로피우스바우에서 열리는 《Ether’s Bloom》
시대와 세상을 예리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관찰자인 아티스트가 현재 진행형의 관심사인 AI의 영향을 탐색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고, 베를린에서도 AI와 예술, 그리고 우리 삶 간의 상호적 관계를 살피는 전시들이 열리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예술과 과학, 테크놀로지에 주목하는 전시 및 프로젝트를 선보이는 LAS 아트 재단에서 개최한 로렌스 렉(Lawrence Lek)의 개인전 《NOX》이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출생이지만 런던에서 거주하는 아티스트 로렌스 렉은 필름, 설치, 게임, 사운드 등 멀티 미디어를 활용해 사변적 픽션(speculative fiction)을 바탕으로 구축한 가상 세계를 관객에게 선보이는 작업을 한다. 케임브리지 대학과 건축협회(AA)에서 건축을 전공했고 런던 왕립예술학교에서 머신러닝 분야 박사를 취득한 그의 배경을 드러내듯 렉이 구축한 허구의 세계는 건축적이고 공간적인 경험을 제공한다. 《NOX》 역시 그러한 공감각적이고 건축적인 경험이 두드러진 전시이다.



베를린에서 열리고 있는 또 다른 AI 프로젝트로 그로피우스 바우(Gropius Bau)에서 열리는 《Ether’s Bloom: A Program on Artificial Intelligence》를 볼 수 있다. 베를린의 대표적 동시대 미술관 중 하나인 그로피우스 바우는 지난 8월, AI 사용이 급증하는 시대를 반영하며 AI에 대한 우리의 기대와 두려움은 물론 예술과 테크놀로지에 대해 논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기 위해 이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전시와 강연, 팟캐스트, 그리고 2024년 개시할 App 등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은 자가학습(self-learning)하는 테크놀로지를 예술의 도구 혹은 간과된 현실을 재조명할 수 있는 장치로 사용하는 작업을 선보이며 AI가 어떻게 우리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 우리는 AI의 역할을 어떻게 조정해야 할 지에 대해 질문한다.
이 외에도 테크놀로지를 통한 공존의 방식을 탐색하는 전시 작품도 있었다.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듀오 케네디+스완(kennedy+swan)은 'Mixed Signals'(2023)에서 인간이 식물 및 동물, 그리고 테크놀로지까지를 포함하는 비인간과 공존하는 삶에 AI가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질문한다. 만약 AI가 우리에게 자연의 언어를 해석해 알려줘 자연과 대화할 수 있게 된다면 어떨까? 흔히 AI를 자연과 상관 없는 테크놀로지의 상징이라 여기는 고정관념을 비틀며 AI를 통해 비인간을 이해하려 시도하는 이 작품은 화려한 미디어 작업 대신 수작업으로 만든 수채화 18점과 AR(augmented reality)로 연결해 볼 수 있는 3D 이미지로 구성되어, 벽에 걸린 수채화를 모바일 APP으로 촬영하면, 아티스트 듀오가 손으로 만든 미니어처나 조각을 AR로 전환한 이미지를 수채화 위에 또 다른 겹으로 펼쳐 식물 및 동물 등이 지닌 고유의 소통 형태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