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노총 불참…동력 잃은 서울지하철 파업

경고파업 첫날…MZ노조 이어 '제2노조'도 발빼

한노총 통합노조 이탈로 '균열'
민노총 단독참여…명분 더 약화
공사 직원들도 '정치파업' 비판

출퇴근길 운행 차질로 곳곳 불편
< 지하철 운행 조정…“언제 집에 가나” > 9일 서울지하철 1호선 서울역 승강장 기둥에 파업으로 인한 운행 조정 안내문이 붙어 있다. 서울교통공사 노조는 전날 밤까지 공사와 벌인 협상이 최종 결렬되면서 이날 오전부터 이틀간 한시적 파업에 들어갔다. 임대철 기자
서울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의 노동조합이 9일 경고 파업에 들어갔다. 파업은 첫날부터 동력을 잃어가는 모습이다. 공사 제2노조인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산하 서울교통공사통합노조가 전격 파업 불참을 선언해서다. 공사 내 세 개 노조 가운데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소속 서울교통공사노조만 파업에 참여하는 모양새가 됐다. 그럼에도 이날 퇴근시간부터 배차 간격이 길어지면서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서울시와 교통공사는 대체인력을 투입해 10일까지 혼잡을 최소화겠다는 입장이다.

○한노총 불참에 파업 동력 약화

서울교통공사노조는 이날 서울시청 앞에서 출정식을 열고 주간근무(오전 9시)부터 10일 야간근무(오후 6시) 직전까지 이틀간 한시적 파업에 들어간다고 선언했다. 명순필 위원장은 “우리는 임금을 위해 이 자리에 나온 게 아니라 시민 안전을 위해 나왔다”고 파업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노조는 이번 파업은 기한을 둔 시한부 파업이지만, 서울시와 공사가 ‘인력 감축 및 안전업무 외주화 안’을 철회하지 않으면 16일 대학수학능력시험 이후 2차 전면 파업에 들어가겠다고 경고했다.제1노조인 공사노조와 제2노조인 통합노조가 참여한 연합교섭단은 전날 밤까지 공사와 협상을 벌였으나 최종 결렬됐다. 애초 두 노조는 이날부터 파업에 들어갈 예정이었으나 통합노조가 긴급쟁의대책위원회를 거쳐 ‘파업 불참’을 선언하면서 민노총 산하 노조의 ‘나홀로 파업’이 됐다. 통합노조는 파업 불참을 알리는 조합원 공지에서 “최선의 합의안을 만들려고 노력했지만 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았다”며 “교섭단 최종회의에서 각 노조의 결정을 존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서울교통공사는 경영 정상화를 위해 2026년까지 정원 1만6367명(2022년 말 기준)의 13.5%인 2212명을 줄이겠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안에 통합노조는 다소 유연한 입장이나 공사노조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파업 첫날 주요 지하철역에 승객이 붐비면서 퇴근길 시민들의 불편이 이어졌다. 매일 서울지하철 3호선 안국역에서 마두역까지 퇴근한다는 직장인 이모씨(55)는 “오후부터 사람들이 급격히 몰려 열차를 두 번이나 보냈다”며 “내일 출근길이 걱정된다”고 했다. 서울시와 공사는 파업기간에 전체 지하철 운행률이 출근시간(오전 7~9시)엔 평상시 대비 100%, 퇴근시간(오후 6~8시)에는 87%대로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서울시는 이번 파업에 대해 유감을 밝히며 조속히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시는 “600만 명이 넘는 시민의 발인 지하철을 볼모로 벌이는 파업은 유감”이라며 “타협 없이 원칙적으로 대응해 이번 기회에 오래 이어져 온 악습을 뿌리 뽑겠다”고 밝혔다.

○공사 내부서도 파업에 ‘부글부글’

교섭권이 없는 제3노조인 올바른노조가 전날 ‘파업 비판’에 나선 데 이어 2노조인 통합노조까지 파업 전선에서 이탈하면서 파업 동력이 크게 떨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공사는 이번만큼은 경영정상화안을 관철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번 개혁안은 2021년 행정안전부로부터 공사채 발행을 위한 부채비율 한도 상향(100%→130%) 승인을 받을 때 조건으로 마련된 것이고, 재무건전성이 개선되지 않으면 또다시 낮은 경영평가 등급을 받게 돼 직원 성과급도 줄 수 없는 처지가 된다는 것이다.이날 공사 내부게시판과 직원 익명 커뮤니티에는 파업을 둘러싼 갑론을박이 이어졌다. 직원 A씨는 “노조가 정치적 이득을 노리고 정규직인 무기계약직을 일반직으로 전환하니 서울시와 회사가 직원을 더는 늘리려 하지 않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B씨는 “매점, 목욕탕 직원도 일반직인 회사가 어디 있느냐”며 “2020년 박원순 시장 때 단행된 통합과 코로나19로 인한 경영 악화 때는 손을 놨던 노조가 시장이 바뀌니 매번 파업을 벌이는 게 문제”라고 비판했다.

김대훈/이광식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