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으로 인터넷 못 한다는데…北서 요즘 뜨는 '인민 앱'
입력
수정
인터넷 접속이 어려운 북한의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내 애플리케이션(앱)은 어떻게 다를까. 인기 앱은 있을까.
12일 북한 입장을 대변하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 기관지 조선신보에 따르면 최근 영상, 라디오, 전자 도서, 노래방 반주음악, 게임 등을 구매할 수 있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PC용 앱 '나의 길동무'가 북한 주민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나의 길동무'는 북한의 10대 최우수기업으로 선정된 소프트웨어 개발사 삼흥경제정보기술사가 내놓은 앱으로 △영어학습지원, 글공부와 같은 교육 프로그램 △부항 치료법, 30일 몸 단련과 같은 건강 프로그램 △노래방, 카드 게임과 같은 오락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를 제공한다.
일부는 유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나의 길동무'를 이용하면 여러 상업 봉사 기관에서 결제할 수 있다고 조선신보가 언급한 점을 미뤄 이 앱은 전자결제 기능도 탑재한 것으로 추정됐다.
북한에서 스마트폰과 태블릿PC에 앱을 설치하려면 직접 매장에 찾아가야 한다. 하지만 삼흥경제정보기술사는 2019년 인트라넷으로도 콘텐츠를 구매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대폭 바꿨다. 이와 관련해 북한 선전매체 아리랑은 2019년 8월 '나의 길동무' 4.3이 "이동통신망과 콤퓨터망에 의한 '점수결제체계'를 새롭게 받아들여 사용자들이 장소에 구애됨 없이 손쉽게 자료들을 구입할 수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지순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여기서 '점수'는 일종의 포인트"라며 "통상 앱을 구매하는 정보기술교류소에 가서 점수를 '충진', 우리식으로 충전하면 그 점수로 프로그램을 결제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나의 길동무'는 2017년 처음 출시됐다. 당시까지만 해도 전자책 열람 기능만 있었다. 이후 여러 번 업데이트를 거치면서 '국민 앱'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분위기다. 이제는 '나의 길동무'가 콘텐츠를 각각 유료로 판매한다는 점에서 구글의 플레이스토어, 애플의 앱스토어와 같은 앱 장터로 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한편, 북한 주민 대부분은 스마트폰이 있다고 하더라도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다. 이들은 당국의 검열·통제가 가능한 광명망이라는 인트라넷만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
12일 북한 입장을 대변하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 기관지 조선신보에 따르면 최근 영상, 라디오, 전자 도서, 노래방 반주음악, 게임 등을 구매할 수 있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PC용 앱 '나의 길동무'가 북한 주민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나의 길동무'는 북한의 10대 최우수기업으로 선정된 소프트웨어 개발사 삼흥경제정보기술사가 내놓은 앱으로 △영어학습지원, 글공부와 같은 교육 프로그램 △부항 치료법, 30일 몸 단련과 같은 건강 프로그램 △노래방, 카드 게임과 같은 오락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를 제공한다.
일부는 유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나의 길동무'를 이용하면 여러 상업 봉사 기관에서 결제할 수 있다고 조선신보가 언급한 점을 미뤄 이 앱은 전자결제 기능도 탑재한 것으로 추정됐다.
북한에서 스마트폰과 태블릿PC에 앱을 설치하려면 직접 매장에 찾아가야 한다. 하지만 삼흥경제정보기술사는 2019년 인트라넷으로도 콘텐츠를 구매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대폭 바꿨다. 이와 관련해 북한 선전매체 아리랑은 2019년 8월 '나의 길동무' 4.3이 "이동통신망과 콤퓨터망에 의한 '점수결제체계'를 새롭게 받아들여 사용자들이 장소에 구애됨 없이 손쉽게 자료들을 구입할 수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지순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여기서 '점수'는 일종의 포인트"라며 "통상 앱을 구매하는 정보기술교류소에 가서 점수를 '충진', 우리식으로 충전하면 그 점수로 프로그램을 결제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나의 길동무'는 2017년 처음 출시됐다. 당시까지만 해도 전자책 열람 기능만 있었다. 이후 여러 번 업데이트를 거치면서 '국민 앱'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분위기다. 이제는 '나의 길동무'가 콘텐츠를 각각 유료로 판매한다는 점에서 구글의 플레이스토어, 애플의 앱스토어와 같은 앱 장터로 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한편, 북한 주민 대부분은 스마트폰이 있다고 하더라도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다. 이들은 당국의 검열·통제가 가능한 광명망이라는 인트라넷만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