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울산은 전동화 허브"…제네시스 초대형 전기 SUV 시동

현대차, 29년 만에 신공장

최첨단 전기차 플랫폼 2조 투입
원가 20% 절감, 주행거리 50%↑
2026년 연간 20만대 규모 생산

"울산은 원대한 꿈 실현했던 곳
미래 모빌리티 생산 시대의 핵심"
< 정의선 “100년 기업 만들 것” > 현대자동차가 13일 울산공장에서 전기차(EV) 전용공장 기공식을 열었다. 왼쪽부터 조르제토 주지아로 디자이너, 장재훈 현대차 사장,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김두겸 울산시장, 이상헌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은 지난해 자동차 142만4141대를 생산했다. 단일 자동차 공장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 50여 년 전만 해도 이 일대는 논밭으로 장마철이면 태화강이 범람해 진흙탕으로 바뀌기 일쑤였다. 현대차는 1968년 이곳에 연산 5만8000대 규모 조립공장을 세우고 자동차산업에 뛰어들었다. 불과 7년 만인 1975년 울산공장을 ‘국내 최초 완성차 공장’으로 탈바꿈시키고 한국 첫 고유 모델인 포니를 생산했다. 울산공장이 한국을 넘어 세계 자동차산업 역사에서 ‘도전의 메카’로 불리는 이유다.

“울산공장, 전기차 시대에도 핵심 허브”

현대차는 전기차 시대를 맞아 또 한 번 울산공장에서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13일 울산공장 종합주행시험장 부지에 전기차(EV) 전용 신공장 설립을 위한 첫 삽을 뜬 것이다.

주행시험장은 쏘나타와 엑센트, 아반떼 등 글로벌 장수 모델의 품질을 테스트한 곳이자 1991년 현대차의 첫 전기차 프로토타입인 쏘나타EV가 개발된 장소다. 부지 면적은 54만8000㎡에 달한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울산공장은 그 시작부터 원대한 꿈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꿈을 함께 실현해나간 곳”이라며 “울산 EV 전용공장은 전동화 시대 미래 모빌리티 생산의 핵심 허브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새 공장은 2026년 1분기부터 연 20만 대 생산에 들어간다. 첫 생산 차종은 제네시스의 초대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으로 확정됐다. E-GMP에 이은 2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M이 처음으로 적용된다.eM은 현대차가 2025년 완성할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 기술의 첫 결과물이다. 배터리, 모터 같은 핵심 부품까지 모듈화해 생산 원가는 최소 20% 낮추고, 주행거리는 50% 이상 늘릴 수 있다고 현대차는 설명했다. 중형 SUV에만 쓸 수 있는 E-GMP와 달리 eM은 공용 모듈 시스템 덕분에 소형·초대형 SUV, 고급 세단 등 거의 모든 차종에 적용할 수 있고 배터리도 다양하게 장착할 수 있다.

글로벌 EV 생산량 40% 국내에서

현대차는 울산 EV 전용공장을 ‘사람 중심 공장’으로 정의했다. 이를 위해 싱가포르 글로벌혁신센터(HMGICS)에서 근로자의 안전과 편의를 최우선에 두고 실증 개발한 제조 혁신 플랫폼을 도입하기로 했다. 수요 중심의 인공지능(AI) 기반 지능형 제어 시스템과 재생에너지 사용 100% 달성을 위한 저탄소 공법, 인간친화적 설비 등이 총동원된다. 작업자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 공장 내부에 자연광이 비치도록 설계하고 개방형 라운지, 센트럴파크 등 휴식 공간도 실내외 곳곳에 마련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4월 경기 화성에 짓기 시작한 기아의 첫 전기 목적기반차량(PBV) 공장에 이어 이날 울산 EV 전용공장을 착공하면서 국내 전기차 생산 거점 마련을 본격화했다. 두 공장이 2025년 하반기, 2026년 초 각각 양산에 들어가면 현대차는 국내에서 전기차 35만 대를 생산할 역량을 갖추게 된다.2030년엔 151만 대까지 늘려 글로벌 생산 목표(364만 대)의 40%를 국내에서 제조한다는 계획이다. 국내에 탄탄하게 구축된 배터리, 전기모터 등 핵심 부품 공급망을 십분 활용하겠다는 전략에서다.

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전기차 수요 둔화는) 늘 고민하는 부분”이라면서도 “크게 봤을 때 전기차가 대세이기 때문에 수요는 지속적으로 창출될 것으로 생각하고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빈난새/김일규 기자 binthe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