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 부담 못 버텨" 2030 영끌족 12만명은...
입력
수정

15일 통계청의 2022년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1일 기준 주택을 소유한 개인은 1530만9000명으로 1년 전에 비해 22만명 증가했다.
반면 30대 주택 소유자는 154만1000명으로 전년(164만7000명)보다 10만6000명 줄었다. 또 20대 이하는 전년(29만1000명) 대비 1만7000명 감소한 27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1년 새 감소한 20·30대 주택 소유자 수가 12만3000명에 달한 셈이다.
50대 주택 소유자가 5만8000명 확대된 385만2000명, 60대가 13만명 늘어난 338만6000명, 70대가 7만2000명 증가한 179만5000명, 80세 이상이 8만5000명 뛴 80만8000명을 기록한 것과 대비된다.
지난해 금리가 치솟으면서 대출을 끌어모아 집을 구입한 20·30대가 이자 부담을 못 버티고 집을 내다판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해 1월1일만 해도 1.00% 수준이던 기준금리는 연말 3.25%로 무려 2.25%포인트(p) 올랐다. 자연스레 은행 대출금리도 연초 3%대 중반에서 연말 5%대 초반(예금은행 신규 기준)까지 크게 뛴 바 있다.
작년 전체 주택 소유자 대비 다주택자 비중은 지난해 14.9%로 전년(15.1%)보다 0.2%p 감소해, 다주택자 비중은 2020년(15.9→15.8%) 이후 3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다만 다주택자 비중은 줄어들었으나 다주택자 수 자체는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구체적으로 보면 2021년 221만5000명에서 227만5000명으로 6만명가량 증가했다. 1주택자가 다주택자보다 더욱 큰 폭으로 확대되면서 다주택자 비중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무주택자의 주택 매수는 한국은행의 급격한 금리 인상 와중에도 지속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021년 무주택자였지만 작년 11월1일 기준으로 유주택자가 된 사람은 68만6000명이었다. 원래는 무주택자였던 3513만3000명 중 2.0%가 1년 새 집을 끼고 살게 된 것이다.
반대로 집을 전부 팔고 무주택자로 돌아간 이들은 37만3000명(2.6%)에 불과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