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부터 주담대 변동금리 0.15%P 오른다
입력
수정
지면A17
10월 신규 코픽스 3.97%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 산정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2개월 연속 오르며 연중 최고치로 치솟았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조이기에 발맞춰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올린 와중에 코픽스까지 뛰면서 가계의 이자 부담이 늘어날 전망이다.
가계 이자부담 더 늘어날 듯
코픽스는 국내 8개 시중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금리를 가중평균해 계산한 지수다.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과 은행채 등의 금리가 반영된다. 예·적금 금리 반영 비중이 80%로 가장 높다. 요구불예금 등 저원가성 예금 등을 포함해 신규 취급액 코픽스보다 금리 변동분이 늦게 반영되는 신잔액 코픽스도 3.33%로 9월(3.29%)보다 0.04%포인트 올랐다.
지난달 코픽스가 연중 최고 수준으로 치솟은 것은 레고랜드 사태 당시 연 4~5% 고금리로 조달한 예·적금의 만기가 다가오면서 은행들이 재예치를 위해 수신금리를 인상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코픽스 상승 여파로 16일부터 시중은행의 변동금리형 주담대 상단은 연 6%를 넘어서게 됐다. 5대 은행 중 주담대 금리가 가장 낮은 국민은행은 신규 코픽스 연동 변동금리형 주담대 금리를 연 4.58~5.98%에서 연 4.73~6.13%로 인상한다. 신규 코픽스 기준 전세자금대출(주택도시보증공사 보증) 금리도 연 4.28~5.68%에서 연 4.43~5.83%로 상단이 연 6%에 바짝 다가섰다. 우리은행도 같은 유형의 주담대 금리를 연 4.94~6.14%에서 연 5.09~6.29%로 올린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