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의료불균형'에 영아사망률 최대 1.6배 격차

전국 영아사망률 출생아 1천명당 3.64명…서울 3.13명 '최저'·대구 5.08명 '최고'
연구팀 "전국을 서울 의료수준에 맞추면 영유아 사망 4천455명 감소"
지역 간 의료불균형이 커지면서 영아사망률에도 격차가 뚜렷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소아 진료 분야의 인적·물적 의료자원이 집중된 서울의 영아사망률이 가장 낮았고, 서울을 기준으로 지역에 따라 최대 1.6배 차가 났다.

19일 의료계에 따르면 김지숙 칠곡경북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연구팀은 통계청 사망원인 자료를 활용해 2001∼2021년 국내 영아사망률의 지역별 격차를 분석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최근 대한의학회지(JKMS)에 게재됐다. 의료계에서 영아사망률은 전반적인 공중보건 수준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간주된다.

논문에 따르면 이 기간 세종시를 제외한 국내 16개 시도 전체 영아사망률은 출생아 1천명당 3.64명이었다.

서울의 영아사망률이 3.13명으로 가장 낮았고, 경기도는 3.20명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 대구는 5.08명, 경북 4.44명, 전북 4.40명, 부산 4.18명, 강원 3.98명, 경남 3.90명 순이었다.

서울과 비교해 대구의 영아사망률은 1.62배, 경북은 1.44배, 전북은 1.40배 많았다.

연구팀은 서울의 영아사망률이 다른 지역에도 적용된다면 이 기간 4천455명의 영아 사망을 예방할 수 있었을 것으로 봤다. 연구팀은 영아 사망의 가장 큰 원인을 분만 전후 발생하는 다양한 응급 상황에 의한 주산기(출산 전후 기간) 문제로 분석한 뒤 지역별 격차가 나타나는 이유 역시 이와 무관치 않다고 분석했다.

분만 전후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송해야 하는 의료기관과 물리적 거리, 신생아 중환자실(NICU)과 관련된 의료자원 중에서도 인적자원의 격차 등이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연구팀은 추정했다.

연구팀은 "영아 사망의 국내 지역적 격차를 확인한 연구로, 최근 이러한 격차가 더 커지는 추세"라며 "소아청소년과와 관련된 의료 자원, 특히 인적 자원의 지역적 불평등이 심화하면서 영아사망률의 지역별 격차는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영아 건강의 불평등 해소를 위해서는 영아사망률의 지역적 격차를 야기하는 원인에 대한 심층적 조사와 정부의 정책적 개입이 시급히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