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백업센터는 11년간 '공사 중'…구멍 뚫린 전산망 [관가 포커스]
입력
수정
재난·재해 등 비상사태에도 전산자원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백업센터(공주센터)가 2012년 사업이 시작된 후 지금까지도 문을 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소요액보다 낮게 책정된 사업비 때문에 사업자 선정과정에서 일곱 차례나 유찰되는 등 정부의 사전준비 미흡으로 건립에 차질이 빚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대전과 광주, 대구에 이어 충남 공주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제4데이터센터가 2025년 상반기 문을 열 예정이다. 건물 신축공사는 지난 5월 마무리됐지만, 통신망과 통합보안시스템 등 전산환경을 구축하는 사업이 진행 중이다. 지금까지 건축비 1545억원과 정보화 구축비용 816억원 등 2361억원의 사업비가 소요됐다. 내년부터 2029년까지 정보화 유지·보수비로만 816억원이 추가 소요될 예정이다.공주센터는 대전과 광주센터에 나눠져 있는 백업 기능을 이 곳으로 이전해 전산자원의 보안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시설이다. 재난·재해 등 비상사태 등으로 대전과 광주센터 기능이 동시에 마비되더라도 전산자원이 안전하게 보호되기 때문에 행정업무의 연속성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화생방, 내진, 전자기파(EMP) 공격으로부터 안전하게 전산자원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국내 데이터센터 최초로 벙커형으로 조성됐다. 핵미사일의 직접 타격을 받지 않는 한 어떤 공격에도 차질없는 운영이 가능하다는 것이 행안부 설명이다.
정부가 공주센터 구축계획을 처음 공개한 건 2008년이었다. 부지 선정과 건물 신축 및 정보화 구축 사업 등을 거쳐 2015년 개소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사업이 공식적으로 시작된 건 2012년 2월이지만 두 번에 걸친 타당성 재조사로 첫 입찰 공고는 2014년 3월에 이뤄졌다. 하지만 이후에도 사업자 선정과정에서 민간 기업들의 외면으로 7차례나 유찰되면서 착공은 2019년 4월에서나 이뤄졌다. 공공 발주사업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수차례 유찰된 것이다.2014년 당시 기획재정부는 세수 부족 여파로 각 부처의 사업예산을 일제히 대폭 삭감했다. 이 여파로 당초 계획된 예산(1800억원·건축비 기준)보다 대폭 삭감된 1052억원으로 사업비가 편성되자 수익성을 이유로 민간 건설업체들이 외면한 것이다. 이후 기재부의 승인을 받아 두 차례 사업비를 증액했지만 잇따라 유찰됐다.
결국 행안부는 일괄수주계약(턴키) 방식에서 설계·시공 분리로 입찰 방식을 변경하는 등 우여곡절 끝에 2019년 4월 간신히 착공했다. 당시 문재인 정부는 2019년 착공 후 2021년 완공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착공 이후에도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감리비 부족으로 인한 공사 중단 등으로 올 5월에서야 간신히 신축공사를 마무리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최신식 데이터센터를 짓는데도 정부가 지나치게 낮은 사업비를 책정했을 뿐 아니라 리스크가 큰 턴키방식을 고집하면서 센터 건립이 늦어졌다”고 지적했다. 반면 당시 행안부는 건설업계가 사업비를 올리기 위해 담합을 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이달 초 내놓은 내년도 예산안 검토보고서에서 “공주센터의 필요성과 당초 계획안 구축·운영 시점에 비해 장기간 지연됐다”며 “향후 전산환경 구축 및 재해복구시스템 이전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사업계획을 면밀하게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20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대전과 광주, 대구에 이어 충남 공주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제4데이터센터가 2025년 상반기 문을 열 예정이다. 건물 신축공사는 지난 5월 마무리됐지만, 통신망과 통합보안시스템 등 전산환경을 구축하는 사업이 진행 중이다. 지금까지 건축비 1545억원과 정보화 구축비용 816억원 등 2361억원의 사업비가 소요됐다. 내년부터 2029년까지 정보화 유지·보수비로만 816억원이 추가 소요될 예정이다.공주센터는 대전과 광주센터에 나눠져 있는 백업 기능을 이 곳으로 이전해 전산자원의 보안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시설이다. 재난·재해 등 비상사태 등으로 대전과 광주센터 기능이 동시에 마비되더라도 전산자원이 안전하게 보호되기 때문에 행정업무의 연속성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화생방, 내진, 전자기파(EMP) 공격으로부터 안전하게 전산자원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국내 데이터센터 최초로 벙커형으로 조성됐다. 핵미사일의 직접 타격을 받지 않는 한 어떤 공격에도 차질없는 운영이 가능하다는 것이 행안부 설명이다.
정부가 공주센터 구축계획을 처음 공개한 건 2008년이었다. 부지 선정과 건물 신축 및 정보화 구축 사업 등을 거쳐 2015년 개소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사업이 공식적으로 시작된 건 2012년 2월이지만 두 번에 걸친 타당성 재조사로 첫 입찰 공고는 2014년 3월에 이뤄졌다. 하지만 이후에도 사업자 선정과정에서 민간 기업들의 외면으로 7차례나 유찰되면서 착공은 2019년 4월에서나 이뤄졌다. 공공 발주사업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수차례 유찰된 것이다.2014년 당시 기획재정부는 세수 부족 여파로 각 부처의 사업예산을 일제히 대폭 삭감했다. 이 여파로 당초 계획된 예산(1800억원·건축비 기준)보다 대폭 삭감된 1052억원으로 사업비가 편성되자 수익성을 이유로 민간 건설업체들이 외면한 것이다. 이후 기재부의 승인을 받아 두 차례 사업비를 증액했지만 잇따라 유찰됐다.
결국 행안부는 일괄수주계약(턴키) 방식에서 설계·시공 분리로 입찰 방식을 변경하는 등 우여곡절 끝에 2019년 4월 간신히 착공했다. 당시 문재인 정부는 2019년 착공 후 2021년 완공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착공 이후에도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감리비 부족으로 인한 공사 중단 등으로 올 5월에서야 간신히 신축공사를 마무리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최신식 데이터센터를 짓는데도 정부가 지나치게 낮은 사업비를 책정했을 뿐 아니라 리스크가 큰 턴키방식을 고집하면서 센터 건립이 늦어졌다”고 지적했다. 반면 당시 행안부는 건설업계가 사업비를 올리기 위해 담합을 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이달 초 내놓은 내년도 예산안 검토보고서에서 “공주센터의 필요성과 당초 계획안 구축·운영 시점에 비해 장기간 지연됐다”며 “향후 전산환경 구축 및 재해복구시스템 이전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사업계획을 면밀하게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