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가격 가능해?"…'반값' 소가죽 부츠 내놓자 벌어진 일 [양지윤의 왓츠in장바구니]

이랜드의 신발 SPA 브랜드 '슈펜'이 최근 출시한 반값 소가죽 부츠. 이랜드 제공
지난해 본격화된 옷·신발값 상승세가 올해까지 이어지는 가운데 제조·유통단계에서의 원가를 줄여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높인 제품들이 인기다. 합리적인 가격이 아니면 좀처럼 지갑을 열지 않는 소비자들을 공략하기 위해 '괜찮은 품질의 제품을 얼마나 싸게 공급할 수 있을지'가 패션기업들의 주요 역량으로 떠오르는 분위기다.

○소가죽 염가에 소싱...원가 20% 낮춰

이랜드의 신발 SPA 브랜드 '슈펜'이 최근 출시한 반값 소가죽 부츠. 이랜드 제공
20일 이랜드월드에 따르면 신발 SPA 브랜드인 '슈펜'에서 출시한 '반값 가죽 부츠'는 이달 11일 출시되자마자 초도물량이 완판됐다. 천연 소가죽으로 만든 이 제품은 종아리를 덮는 롱부츠가 7만9900원, 발목까지 오는 앵클부츠가 5만9900원에 책정됐다. 일반적인 소가죽 롱부츠가 10만~20만원대라는 점을 고려하면 타사 제품의 반값이 채 되지 않는 셈이다.

소가죽은 내구성이 좋고 유행을 타지 않아 신발 재료 중에서도 고급으로 꼽힌다. 이런 소가죽을 사용한 롱부츠가 타사의 절반도 안되는 가격에 출시된 만큼 소비자의 반응이 뜨거웠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초도물량이 동난 후 생산된 2차 물량도 지난 주말새 절반 넘게 소진됐고, 현재 재주문에 들어간 상태다. 기세를 몰아 다음달에는 남성 고객을 공략한 가죽 클래식 로퍼를 출시할 계획이다. 이랜드월드 관계자는 "가격은 저렴하지만, 진짜 소가죽으로 제작됐고, KC인증까지 받은 제품"이라며 "품질만 놓고 보면 백화점 제화 브랜드나 해외 유명 브랜드에 절대 뒤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반값 가죽 부츠가 가능했던 건 주요 원자재인 소가죽을 저렴한 가격에 확보했기 때문이다. 슈펜의 MD들은 전세계 30곳이 넘는 가죽 공급사를 찾아다니며 정상가보다 30% 싸게 가죽을 구매했다. 원가 비중이 가장 높은 재료인 가죽에서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롱부츠의 경우 원가를 20% 이상 낮추는 효과를 냈다. 중간 벤더사를 끼지 않고 가죽 소싱에서부터 제품 생산까지 한번에 가능한 협력업체를 발굴해 유통비용을 줄인 것도 가격 인하 비결 중 하나다.

○스웨트셔츠 가격도 1만원 밑

NC베이직 이미지. 이랜드리테일 제공
낮은 가격을 앞세운 의류도 잘 팔린다. 지난 9월 출범한 이랜드리테일의 패션 브랜드 'NC베이직'도 선전 중이다. 현재 3곳의 NC백화점에 입점했는데, 출시 한달도 안돼 3만장이 팔렸다. 일반 매장 대비 평당 매출도 10배 이상 높다. NC베이직은 유행을 반영한 여러 디자인의 제품을 내놓는 일반적인 SPA브랜드와 달리 가장 기본적인 디자인의 셔츠·청바지·스웨터 등 소수의 제품만 취급한다. 기본 셔츠와 청바지가 1만9900원, 무지 스웨트셔츠가 9900원으로, 경쟁사 대비 3분의 1 수준이다.

NC베이직도 원단에서 비용을 크게 절감했다. 43년간 쌓아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원단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국내외 공장을 찾아 시장가의 절반 이하 수준에 원단을 매입했다. 상품 디자인을 마친 후 그에 맞는 원단을 찾는 기존 브랜드들과 달리, 먼저 원단을 수급한 후 그에 맞춰 제품의 디자인을 마무리하는 방식으로 생산 과정을 효율화했다.
다이소가 이달 출시한 5000원짜리 플리스 집업. 다이소 제공
모든 제품을 5000원 이하의 가격에 판매하는 생활용품점 '다이소'에서도 최근 의류 라인업을 강화하는 추세다. 이달 초에는 가을·겨울(FW) 시즌을 맞아 5000원짜리 플리스(fleece) 외투와 패딩 베스트 등을 출시해 관심을 모았다. 마진율을 낮추는 대신 판매량을 늘리는 '박리다매' 방식을 고수하는 만큼 직매입으로 유통마진을 줄여 소비자 판매가를 낮췄다는 게 다이소측 설명이다.
다이소가 최근 출시한 5000원짜리 패딩 조끼. 다이소 제공
당초 양말·티셔츠 등 간단한 의류만 판매하던 다이소가 겨울용 플리스와 패딩, 스포츠웨어 등으로 범위를 넓힌 건 최근 들어 가성비 의류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다이소의 올 1~10월 의류 제품 수는 전년 동기 대비 170% 늘었고, 매출도 140% 성장했다.

의류 소비에 있어서 가격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는 있는 만큼 경쟁사보다 저렴한 가격에 원자재를 수급할 수 있는지가 패션기업의 경쟁력으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부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에서 비롯한 원자재와 물류비, 인건비 등의 변동성이 점차 커지면서 외부요인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이 요구되는 추세다. 패션업계 관계자는 "원가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원자재 공급처와 생산처를 확보하고 있는 게 관건"이라며 "패션사들이 오랜 경험을 가진 소싱 전문가를 영입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양지윤 기자 y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