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과 존엄 중 선택? 모르겠다, 그게 인생"… 조정래 신간 '황금종이'
입력
수정
조정래 작가는 20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황금종이> 출간 기념 기자 간담회를 갖고 "돈이 인간을 어떻게 지배하는가, 인간은 왜 돈에 매달릴 수밖에 없는가 하는 문제를 소설로 쓰려 했다"고 말했다. 조 작가는 1970년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한 뒤 <태백산맥> <아리랑> <한강> 대하소설 3부작을 비롯해 <풀꽃도 꽃이다> <정글만리> 등을 발표했다. 이번 작품은 <천년의 질문> 이후 4년 만에 발표한 장편소설이다.
"인간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공동체를 형성해야 하고, 물물교환하는 시대를 지나 돈을 만들어냈습니다. 돈의 역사가 대략 5000~7000년이 됐고 지폐가 나온 게 대략 3000년이 됐습니다. 우리 삶의 생사여탈권을 쥐고 있는 무시무시한 존재이고, 삶의 갈등과 법정 소송의 80~90%가 돈 때문에 야기되지요." '돈'은 저명한 작가인 그에게도 수십년을 고민했던 소재였다. 조 작가는 "돈의 문제는 가난했던 대학생 시절부터 계속 생각했다"며 "돈이 삶을 괴롭힐 때마다 '왜 이렇지?' '어떻게 돈을 벌 수 있지?' 골백번 생각했다"고 했다.
그러나 인간의 존엄과 돈의 힘을 조화시킬 지혜는 그에게도 숙제다. 때문에 조 작가는 소설을 이태하 변호사가 돈을 둘러싸고 갈등하는 장면에서 마쳤다. 명쾌한 정답이나 결론은 없다. '당신이라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이냐'고 독자에게 질문한 셈이다. 그 답에 대해서는 자신도 "모르겠다"며 "그게 인생"이라고 털어놨다.
주인공을 운동권 출신으로 설정한 이유에 대해 묻자 "현실 속 운동권들이 민주화운동 시절 순수성을 지켰다면 하는 게 저의 정치적 기대지만, 여러 방식으로 변질돼 그들의 존재가 희미해져버렸다"고 말했다. 소설과 다른 현실 속 운동권의 모습이 돈의 속성과 인간의 비애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여든이 넘은 그는 여전히 하루 평균 원고지 15~20매를 집필한다. 휴대폰조차 쓰지 않는 그는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아 아직도 손글씨로 소설을 쓴다.
"<태백산맥>을 쓸 때 매일매일 하루에 원고지 35매씩을 썼어요. 이제 나이가 들었으니 하루 5매씩만 쓰자고 생각했는데, 점점 속도가 붙어서 15~20매씩 쓰게 됐습니다. 결국 계획했던 것보다 3개월 앞서 소설을 완성했습니다." 조 작가는 <황금종이>를 "작품활동 제3기를 여는 작품"이라고 스스로 정의했다.
그는 "1기인 전반기 작품들은 초창기 단편과 중편부터 <아리랑> 이전 썼던 작품들, 2기인 중반기는 <태백산맥> <한강> <아리랑>을 포함한다"며 "이번 작품과 다음 작품까지를 3기로 잡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1, 2기는 민족 수난에 대해 썼다면 3기는 인간의 실존과 현실, 인간의 본성과 욕구 같은 것들을 탐구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조 작가는 다음 작품이 작가로서 마지막 작품이 될 거라 예고했다. "제가 올해 81살입니다. 인생 정리하는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제 인생 마지막 작품으로 생각하는 게 우리 영혼의 문제와 내세, 불교적 세계관을 가지고 그 작품을 쓰면서 제 문학 인생을 마칠까 하는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