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출 5일만에 오픈AI에 복귀한 샘 올트먼…향후 행로는?
입력
수정
이사회 새로 구성, 마이크로소프트도 참여 전망샘 올트먼이 축출된지 5일만에 오픈AI 로 복귀하기로 해 5일에 걸친 오픈AI 드라마가 일단락됐다. 이를 계기로 인공지능(AI) 업계는 AI의 윤리성과 상업화 사이의 조화, 윤리성에 대한 감독 및 규제 문제 등이 더욱 중요한 관심사로 부가됐다.
AI 윤리와 올트먼의 기업가야심 사이 향후 행로 주목
로이터 등 외신들에 따르면 22일(현지시간) 오픈AI는 샘 올트먼이 CEO(최고경영자)로 복귀하고 올트먼을 축출했던 이사회는 개편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올트먼의 복귀와 함께 오픈AI는 이사회도 재구성, 세일즈포스의 전 공동 CEO인 브렛 테일러를 새로운 이사회 의장으로, 전 미국재무부장관 래리 서머스와 현 이사중 아담 디안젤로 일차 이사회를 구성한다고 X(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올트먼도 이 날 X(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오픈AI로 돌아가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적었다.
올트먼과 함께 오픈AI에서 나왔던 사장 그레그 브로크먼도 자신의 X에 “오늘 밤 코딩으로 돌아간다”고 오픈AI 복귀를 알렸다. 올트먼의 복귀는 AI의 위험성과 AI의 상업적 잠재력 사이에서 줄타기해온 비영리 스타트업이었던 오픈AI에 새로운 시대를 열어줄 전망이다. 또 오픈AI의 기술을 전세계 비즈니스 고객에서 판매하려는 올트먼과 최대 지분을 보유한 투자자인 마이크로소프트(MSFT)에게도 유리한 것으로 보인다고 로이터는 덧붙였다.
개편 이후 이사회 참여를 노리는 것으로 알려진 마이크로소프트의 CEO인 사티야 나델라는 X에 오픈AI 이사회의 변화를 환영하는 트윗을 게시했다. 그는 “이것이 보다 안정적이고, 정보가 풍부하며, 효과적인 거버넌스에 필요한 첫 단계’라고 밝혔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번 개편으로 이사회는 종전 6명에서 늘어난 최대 9명의 이사를 지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최소 하나 이상의 이사회 좌석을 차지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로이터와 인터뷰한 하그리브스 랜즈다운의 분석가 수잔나 스트리터는 “올트먼의 사임을 촉발한 이유가 확실하지 않지만, 올트먼의 회사 운영방법에 대한 견해가 미래 방향을 지배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건에서 눈에 띄는 것은 오픈AI 공동 창립자이자 이사회 멤버인 최고과학자 일리야 수츠케바이다.
구글에서 AI담당 과학자로 유명했던 그는 일론 머스크가 스카우트해 오픈AI 창업 초기에 합류했다. 벤처 캐피탈리스트 출신으로 신속한 상업화를 추구해온 올트먼과 달리 수츠케바는 AI의 위험성과 개발 윤리를 중시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사회에서는 올트먼의 축출에 참여했으나 2일전 “올트먼을 축출한 이사회에 참여한 자신의 행동을 깊이 후회한다”고 X에 올리기도 했다.
2015년에 설립된 오픈AI는 당초 금전적 이익에 좌우되지 않고 인류에게 이익이 되는 방식으로 AI를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비영리 단체로 설립됐다. 나중에 제한적인 영리 법인으로 재조직돼 마이크로소프트 및 기타 투자자들로부터 수십억달러를 펀딩받았고 벤처캐피탈리스트 경력을 가진 올트먼이 이 거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사회는 비영리 목표를 갖고 오픈AI를 감독해왔으며 이 과정에서 갈등이 폭발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49%의 지분을 가진 마이크로소프트를 포함, 오픈AI에 투자한 투자자들은 올트먼의 해고에 분노했다. 또 회사가치가 최소 800억달러(103조원) 로 추정된 가운데 오픈AI의 직원들 소유 지분은 일부 매각이 예정돼 있었다. 직원들 지분이 투자자 지분과 함께 무려 49%에 달한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직원들 지분이 마이크로소프트 지분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알려져 상당수의 스톡옵션을 보유한 직원들은 엄청난 주식매각 차익이 예상된 상황이었다.
전략에 대한 갈등과 함께 올트먼의 기업가적 야망도 이사회에서 논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올트먼은 엔비디아가 만든 칩과 경쟁할 AI 칩 스타트업을 창업하기 위해 중동국부펀드로부터 수백억 달러를 조달하는 방안을 모색중이었다. 또 올트먼은 전 애플 디자이너였던 조니 아이브와 협력해 AI 기반 하드웨어를 만들기 위한 새로운 사업에 수십억달러를 투자하기 위해 소프트뱅크 그룹의 회장인 손정의 회장에게도 투자 요청을 하고 있던 중이었다. 이 같은 자신의 벤처를 창업하려던 것이 이미 긴장된 이사회와의 관계에 복잡성을 더했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