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정찰위성 정상 작동할까…이르면 이번 주말 결론(종합2보)
입력
수정
지상 교신여부 등 확인 필요…만리경-1호 내달 1일 임무 착수는 "과장된 평가"
북한, 궤도에 위성 2번 띄웠지만 정상작동 확인된 적은 없어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1호기 '만리경-1호'가 우주궤도에 안착하는 데는 성공한 것으로 평가되면서 이제 관심은 위성의 정상 작동 여부에 쏠리게 됐다. 군 당국은 이르면 이번 주말 북한 정찰위성의 정상 작동 여부를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22일 KBS 라디오에 출연해 북한 정찰위성에 대해 직접 분석한 결과 "정상궤도에 진입한 것으로 1차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공중감시 능력이 거의 없다고 평가되는 북한이 단번에 우주감시 역량을 얻는다면 우리에게는 적잖은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짚었다. 다만 위성이 궤도에 오르는 것만으로는 '위성 발사에 성공했다'고 말하기 이르다.
위성과 지상 기지국 간 신호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지상을 촬영한 사진 및 영상도 발신돼야 하기 때문이다.
장영근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미사일센터장은 "설사 (위성이) 궤도에 정확하게 진입하더라도 초기 운용을 통해 태양전지판을 전개하여 배터리 충전을 해야 하고, 위성을 평양의 지상관제소로 지향하여 통신을 성공적으로 수행해야 위성 발사에 성공했다고 정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일 태양전지판 전개에 실패하거나 지상관제소 지향 실패, 또는 초기 통신에 실패하면 위성 실패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이날 오전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평양종합관제소를 방문한 자리에서 태평양 지역 괌 상공에서 앤더슨 미 공군기지와 아프라항 등 미군의 주요군사기지 구역을 촬영한 항공우주 사진들을 봤다고 주장했다.
북한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지상관제소와 교신은 물론 영상 전송 또한 이뤄졌다는 의미다. 실제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관제소 사진에는 괌과 태평양, 한반도가 포함된 지도 이미지가 포함된 대형 현황판의 모습이 포착됐다.
그러나 통상적인 위성 사진과 달리 컬러 이미지라는 점 등을 고려하면 '만리경 1호'가 촬영한 것이 아닐 가능성이 제기된다.
군과 정보당국은 기만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북한이 공개한 사진을 정밀 분석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신원식 장관은 만리경-1호가 다음 달 1일부터 정식 정찰 임무에 착수한다는 북한 발표에 대해서도 "과장된 평가"라며 "한미가 조금 빠르면 주말 정도에는 위성체의 정상 작동 여부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2012년 12월 광명성 3호 2호기와 2016년 2월 광명성 4호 등 두 차례 위성을 궤도에 올린 적이 있지만, 정상 작동이 확인된 적은 없다.
발사체에 탑재하는 위성체 기술도 아직 조악할 것으로 예상된다.
군이 올해 5월 북한의 1차 발사 때 인양된 낙하물을 분석한 결과, 당시 정찰위성에 장착된 카메라의 해상도도 3m급에 불과했다.
이는 가로·세로 3m 물체를 한 점으로 표시하는 수준이다. 다만 러시아의 지원이나 밀수 등을 통해 국외에서 고품질 부품을 들여와 성능을 개선했을 가능성은 남아있다. /연합뉴스
북한, 궤도에 위성 2번 띄웠지만 정상작동 확인된 적은 없어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1호기 '만리경-1호'가 우주궤도에 안착하는 데는 성공한 것으로 평가되면서 이제 관심은 위성의 정상 작동 여부에 쏠리게 됐다. 군 당국은 이르면 이번 주말 북한 정찰위성의 정상 작동 여부를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22일 KBS 라디오에 출연해 북한 정찰위성에 대해 직접 분석한 결과 "정상궤도에 진입한 것으로 1차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공중감시 능력이 거의 없다고 평가되는 북한이 단번에 우주감시 역량을 얻는다면 우리에게는 적잖은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짚었다. 다만 위성이 궤도에 오르는 것만으로는 '위성 발사에 성공했다'고 말하기 이르다.
위성과 지상 기지국 간 신호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지상을 촬영한 사진 및 영상도 발신돼야 하기 때문이다.
장영근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미사일센터장은 "설사 (위성이) 궤도에 정확하게 진입하더라도 초기 운용을 통해 태양전지판을 전개하여 배터리 충전을 해야 하고, 위성을 평양의 지상관제소로 지향하여 통신을 성공적으로 수행해야 위성 발사에 성공했다고 정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일 태양전지판 전개에 실패하거나 지상관제소 지향 실패, 또는 초기 통신에 실패하면 위성 실패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이날 오전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평양종합관제소를 방문한 자리에서 태평양 지역 괌 상공에서 앤더슨 미 공군기지와 아프라항 등 미군의 주요군사기지 구역을 촬영한 항공우주 사진들을 봤다고 주장했다.
북한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지상관제소와 교신은 물론 영상 전송 또한 이뤄졌다는 의미다. 실제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관제소 사진에는 괌과 태평양, 한반도가 포함된 지도 이미지가 포함된 대형 현황판의 모습이 포착됐다.
그러나 통상적인 위성 사진과 달리 컬러 이미지라는 점 등을 고려하면 '만리경 1호'가 촬영한 것이 아닐 가능성이 제기된다.
군과 정보당국은 기만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북한이 공개한 사진을 정밀 분석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신원식 장관은 만리경-1호가 다음 달 1일부터 정식 정찰 임무에 착수한다는 북한 발표에 대해서도 "과장된 평가"라며 "한미가 조금 빠르면 주말 정도에는 위성체의 정상 작동 여부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2012년 12월 광명성 3호 2호기와 2016년 2월 광명성 4호 등 두 차례 위성을 궤도에 올린 적이 있지만, 정상 작동이 확인된 적은 없다.
발사체에 탑재하는 위성체 기술도 아직 조악할 것으로 예상된다.
군이 올해 5월 북한의 1차 발사 때 인양된 낙하물을 분석한 결과, 당시 정찰위성에 장착된 카메라의 해상도도 3m급에 불과했다.
이는 가로·세로 3m 물체를 한 점으로 표시하는 수준이다. 다만 러시아의 지원이나 밀수 등을 통해 국외에서 고품질 부품을 들여와 성능을 개선했을 가능성은 남아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