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등이 골목길 비출 때면…진한 노래로 '밤리단길' 깨우는 카페
입력
수정
지면A18
공간의 감각이 공간을 채우는 것들에는 대체로 위트가 있다. 문을 열고 들어가면 얇은 나뭇조각들을 접착한 파티클보드(OSB 합판)로 발판을 만든 바가 눈에 띈다. 알루미늄 타공판으로 지지대를 만들고 그 위에는 다시 어두운 나무 색상의 두꺼운 합판을 올려 바를 완성했다.
일산 밤가시마을 위트앤컬처
유수의 브랜드 경력 바리스타
단골 손님 취향따라 음료 척척
LP로 가득찬 디제잉 스탠드서
팝·재즈 등 플레이리스트 재생
시선을 돌리면 스탠드 조명이 빛을 비추는 디제잉 스탠드가 보인다. 바와 같은 형식으로 만든 거치대 위에 턴테이블이 있고, 파스텔톤의 색을 입힌 석고보드는 목제 수납함을 품고 벽을 이룬다. 이 수납함은 각각 12장의 LP와 한 쌍의 JBL스피커를 빈틈없이 감쌀 수 있는 크기로 만들어졌다.좌석으로는 가죽을 덧댄 시트가 얹어진 철제 의자가, 그 옆에는 파스텔톤의 철제 수납함이 보인다. 하얀색 페인트가 칠해진 시멘트벽과 대조를 이뤄 창가엔 각기 다른 파스텔톤의 알루미늄 블라인드가 걸린다. 천장에 달린 유리 소재의 조명은 따뜻한 불빛을 품고 바와 좌석을 비춘다.
이제 커피를 주문해야겠다고 생각하며 메뉴를 보니 기름종이 위에 글씨가 인쇄돼 있다. 벽엔 귀엽게 일그러진 머그잔이 쌓여 있고, 이곳의 대표 메뉴인 푸딩이 일러스트 포스터로 소개된다. 목재와 철재, 석고, 유리와 종이 등 다양한 건축의 소재들이 한데 어우러져 있지만, 그 조합은 억지스럽기보다 위트 있게 서로의 위치를 차지한다.
위트의 완성은 손님을 맞이하는 주인장의 친절함, 그리고 선곡이다. 최혁 위트앤컬처 대표는 능청스럽게 단골의 취향에 맞는 음료를 내준다. SNS에서는 자신의 출근을 ‘워킹 홀리데이’로 표현하기도 하고, 요즘 가게 앞을 산책하는 강아지의 이름을 외우고 있다는 일기를 쓰기도 한다. “어떻게 알고 카페에 손님들이 오는지 모르겠다”며 너스레를 떨지만, 음료부터 음악 선곡까지 손님맞이에 부족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한다. 한 달에 한 번 선보이는 선곡 리스트는 다양한 소재가 조화를 이루는 인테리어처럼 팝과 가요, 디스코와 재즈, 전자음악이 자연스럽게 섞여 있다. 유명 커피 브랜드에서 오랜 경력을 쌓아온 내공이 이런 걸까.위트앤컬처가 자리한 경기 고양시 정발산동은 그만의 문화가 있다. 계획된 동선에 따라 유명 브랜드 간판이 늘어선 쇼핑몰을 거닐던 사람들은 종종 낮은 고도의 주택가 사이 불규칙적으로 자리 잡은 상가를 찾는다. 1층에 상가를 둔 저층 주택이 군집해 있는 지역에 으레 붙는 별칭처럼, 이곳 밤가시마을의 상가 구역도 ‘밤리단길’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주거 공간과 상업 공간이 어우러진 곳은 대체로 쉴 틈 없이 어떤 일들이 일어난다. 상가와 주거 공간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밤리단길에는 낮과 밤, 좀처럼 따뜻함이 사라지는 법이 없다. 아파트 브랜드 간 빗장을 친 대단지 아파트 숲에서 사람들은 우연한 조우를 기대하며 끊임없이 ‘O리단길’을 찾으니 말이다.
이제 30년이 지난 일산신도시는 계획대로 낮은 인구 밀도와 넓고 푸르른 공원을 유지하며 사람들을 끊임없이 불러 모은다. 그 중심지에 있는 밤가시마을 밤리단길도, 이곳에 둥지를 튼 위트앤컬처도 사람을 모으는 힘의 일부다. 카페 주인장이 산책하는 강아지의 이름을 외우고 있는 모습과 손님들의 표정을 살피며 턴테이블에 조심스럽게 음반을 올려놓는 모습을, 주거와 상업 공간이 어우러져 다채로운 풍경을 만들어내는 밤가시마을과 우연한 발견이 주는 기쁨을 찾아 낯선 골목으로 향하는 사람들의 표정을 보면 “성공하면 서울로 떠나야겠다”는 카페 주인의 말은 곧 위트로 다가온다.
공간을 가득 채운 유머와 또 이 공간이 만들어 낸 문화는 오래도록 밤가시마을에 뿌리를 내릴 것이다. 종종 오래된 카페에서 내린 뿌리가 그 지역을 지탱하는 힘이 되는 것처럼. 그리고 그 뿌리가 서로를 엮는 깊은 신뢰가 되는 것처럼.
조원진 칼럼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