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만에 이렇게 바뀌나"…180도 달라진 카니발 '인기모델'
입력
수정
3년 전 사전계약 디젤 80% 육박했는데
이젠 하이브리드가 대세…디젤은 10%대
환경규제 강화, 경유값 상승에 '인기 시들'

29일 기아에 따르면 이달 8~14일 진행된 총 5만1687대의 사전계약 건수 중 디젤 모델 비중은 약 13%(6780대)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파워트레인은 하이브리드 모델(3만8227대)로 전체의 약 74%를 차지했다.3년 전과 확 달라진 분위기다. 2020년 4세대 완전 변경 모델인 신형 카니발이 출시됐을 당시 디젤 모델의 사전 계약 비중은 전체의 약 80%에 육박할 만큼 높은 인기를 누렸다. 대표적 '패밀리카'로 통하는 카니발은 실용성과 경제성이 핵심 인기 요인인데 디젤 모델의 장점이 예전만 못하다는 얘기다.

디젤 파워트레인만 있는 기아 모하비의 올해 판매량(1~10월)은 전년 동기 대비 반토막 수준(57.1% 감소)인 4455대에 그쳤다. 저조한 판매량 탓에 단종설까지 흘러나오는 상황이다.소비자들이 더 이상 디젤차를 구매하지 않는 분위기가 반영됐다. 강화되는 환경 규제에 따라 디젤차도 이제 '끝물'이라는 인식이 강해졌다.
국내에서 2025년부터 4등급 디젤 차량은 서울 사대문 안 운행이 제한되고 2030년부터는 서울 전역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또 대기관리권역법 개정안에 따라 내년 초부터 대기관리권역에서 택배 차량이나 어린이 통학버스를 신규 등록할 때 디젤차가 금지된다.
업계 관계자는 "디젤차 규제는 강화된 환경 규제에 따른 세계적인 흐름"이라며 "완성차 업체들이 디젤차를 하나둘씩 단종하고 있다. 소비자들도 이러한 분위기에 반응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