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넷 중 셋이 50대 이상"…인력난 해소 위해 정년 없앤 회사들

사진=뉴스1
KT는 20년 넘게 장기근속한 직원이 60세 정년에 도달하면 2년간 직무와 근무지를 유지하며 후배들에게 기술과 비결을 전수하는 ‘시니어 컨설턴트 제도’를 두고 있다. 이를 통해 매년 정년퇴직자의 15%를 재고용한다. 50세 이상 직원에겐 ‘내일설계휴직제도’라는 자격증 및 창업 준비 과정을 제공해 최대 4년간 휴직을 허용하고, 최대 1년 6개월 동안 기본급 100%를 지급한다.

극심한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기업들이 중장년 직원의 계속 고용을 통해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중장년 고용에 앞장선 11개 기업의 사례를 소개한 '중장년 고용 우수기업 사례집'을 발간했다고 29일 밝혔다. 대기업부터 중소기업까지 다양한 기업과 업종의 중장년 인력 활용 사례를 담았다.쿠크다스로 유명한 제과업체 크라운제과는 지방 근무와 생산직, 2교대를 선호하지 않는 청년들이 잘 지원하지 않아 심각한 인력난에 부딪혔다. 이에 60대를 활용하기로 하고 2016년에는 정년을 62세로 연장하고 촉탁제를 통해 정년을 넘긴 근로자의 50%를 재고용했다. 경험이 풍부한 중장년 직원들이 설비에 발생한 오류를 귀신처럼 잡아낸 사례도 있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최근 3년간 채용한 경력직 중 12%가 중장년이다. 중장년 근로자를 숙련 기술 인력으로 분류하고 정년퇴직 이후에도 3년간 재고용하는 제도를 뒀다. 아예 후배들에게 숙련 기술을 전수하는 사내 기술교육원의 전문 교수로 임용한 사례도 있다.

IT 중견기업 한국정보기술단은 정년을 폐지했다. 업종 특성상 다년간의 경력이 필요한 '정보시스템 감리 자격증'이 필요하다 보니 중장년 근로자가 많을 수밖에 없다. 근로자 470명 중 50세 이상 근로자가 74%에 달한다. 임금피크제 대신 기업 이익을 성과 평가로 돌려받는 '미래 성과공유제'를 도입했다. 성과 위주로 운영하면서 근무 형태도 자유로워졌다. 근로자와 회사가 협의해 시차 출퇴근은 물론 한 달에 열흘만 근무하는 사례도 있다.임영미 고용부 통합고용정책국장은 “주요 기업들의 중장년 인력 활용 사례는 고령 인력에 대한 편견을 깨고 장년 고용 친화 분위기가 조성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