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냉전질서 재편한 '외교 거인' 헨리 키신저 별세…향년 100세 [종합]
입력
수정
'탈냉전의 설계자'·'핑퐁 외교' 이끈 키신저'외교의 황제' '탈냉전의 설계자'로 불린 외교 거목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이 29일(현지시간) 코네티컷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다. 향년 100세. 사인은 공개되지 않았다.
1970년대 미중 수교 주역, 노벨평화상 수상 논란도
국제현안서 현실주의 접근, 한반도 긴장완화에 관심
지난 7월에도 시진핑과 환담하며 노익장 과시
키신저 전 장관의 국제외교정치 컨설팅사 '키신저 어소시어츠'는 이날 "존경받은 미국인 학자이자 정치인 헨리 키신저가 11월29일 코네티컷 자택에서 별세했다"고 발표했다.유대인 출신인 그는 1923년 독일에서 태어나 15세가 되던 해인 1938년 나치의 유대인 박해를 피해 미국 뉴욕으로 건너갔다. 하버드대에 입학해 1950년 문학 학사를, 1952년과 1954년 철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9년 닉슨 당시 대통령의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으로 임명되면서 워싱턴에 입성했다. 1973년에는 제56대 국무장관을 겸하게 되면서 지금까지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국무장관을 동시에 지낸 사람은 키신저가 유일하다.키신저 전 장관은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미국의 외교정책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구 소련과의 데탕트(긴장완화)를 조성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키신저는 1969년부터 미국과 소련과의 전략 핵무기 제한 협상을 시작해 1972년 전략무기제한협정 1차 조약(SALT I)을 타결시켰다. 1973년 1월 파리에서 북베트남정부와 회담을 가지고 미군 철수와 남북 베트남정부의 평화정착을 위한 기구설정을 내용으로 하는 휴전협정을 체결했다. 그는 이 공로로 베트남 협상 대표인 레둑토와 함께 1973년 노벨평화상을 탔다.같은 해 제4차 중동전쟁 때는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를 오가며 중재자 역할을 해 군사적 긴장을 해소하고 적대관계를 휴전으로 유도했다. '셔틀외교'란 말이 만들어진 것도 이때의 일이다.키신저의 업적 중 '하이라이트'는 중국과의 외교 담판이다. 1972년 당시 닉슨 미국 대통령과 마오쩌둥 중국 주석간 정상회담 성사를 이끄는 등 미·중 수교의 토대를 닦았다. '핑퐁외교'도 이때 나온 말이다. 키신저는 1971년 두차례 중국을 방문해 저우언라이 총리와 회담했고 이를 통해 이듬해 닉슨 대통령의 방중 및 미중 정상회담이 성사될 수 있었다. 미국과 중국이 20여년의 적대관계를 청산하고 관계 개선에 나선 역사적 순간으로, 결국 미국과 중국은 1979년 공식적으로 수교했다. 이 수교를 계기로 중국인들은 키신저를 '14억 중국인의 친구'라고 불렀다.
고인은 한반도 평화에도 관심을 가졌다. 키신저 전 장관은 1975년 유엔총회에서 한반도 긴장완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4자회담 개최를 제안했다. 또 한국을 자주 찾아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전 대통령과 만났다.그는 1977년 지미 카터 행정부 출범으로 국무장관에서 퇴임한 뒤에도 저술 및 연구, 강연 등으로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을 만나 외교정책을 조언하고 2018년에 이어 올해 7월에도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을 만났다.
100세가 된 올해도 집필 작업을 이어가는 등 키신저 전 장관은 끊임없는 열정을 과시했다. 그의 아들 데이비드 키신저는 올해 봄 미국 워싱턴포스트(WP) 기고문에서 아버지의 장수 비결로 "꺼지지 않는 호기심으로 세상과 역동적으로 소통하는 것"을 꼽기도 했다.
키신저는 국제 정치에서 국가 이익이나 세력 균형을 중시하는 현실주의 접근법을 취했다. 이른바 '힘의 외교'를 국제정치의 기본 논리로 삼았다. 워싱턴포스트는 "그는 미국 국제 문제와 정책 형성에 비할 데 없는 지배력을 발휘했던 외교관이지만 그를 절조와 도덕관념이 없다고 보는 비판 세력의 끊임 없는 공격을 받았다"고 평가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