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주범' 산유국·석유회사 항변의 장된 COP28
입력
수정
"화석연료 병행 상당 기간 불가피" 주장 공식화 대표적인 산유국인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리고 있는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가 기후변화의 주범으로 몰렸던 산유국과 석유 회사들이 항변하는 장이 되고 있다. 그간 COP에선 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하고 이를 위해 석유, 가스,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 사용을 제한하자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면 올해 COP28 회의는 사뭇 분위기가 달라졌다.
화석연료의 병행 사용이 상당 기간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COP28을 계기로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의 기후 특사로 회의에 참석한 아델 알주베이르 외무 담당 국무장관은 5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뉴스와 인터뷰에서 "화석연료는 앞으로 수십 년 동안 우리와 함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에너지를 공급하지 않고 경제발전을 이룬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며 "석유와 가스와 같은 화석연료가 합리적 가격의 대표적 에너지원"이라고 설명했다.
세계 최대 규모의 송유관을 건설 중인 아프리카의 내륙국 우간다도 이번 회의에서 에너지 전환 계획을 발표하면서도 석유와 가스 부분이 여전히 재생에너지와 공존할 수 있으며 석유 생산이 필수 요소라고 강조했다고 알아라비야 방송이 전했다.
우간다가 토탈에너지와 함께 추진하는 틸렝가 지역의 유전 개발 사업과 탄자니아 항구로 이어지는 송유관 건설 사업이 완료되면 하루 24만 배럴에 달하는 석유 생산이 가능할 전망이다. 블룸버그 자체 집계에 따르면 이는 아프리카의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인 적도기니와 가봉 생산량보다 큰 규모다.
올해 COP28은 석유 수출 세계 6위인 UAE에서 열린 데다가 의장을 맡은 술탄 알자베르 산업첨단기술부 장관이 아부다비 국영석유공사(ADNOC) 최고경영자(CEO)이기도 해 시작부터 논란이 됐다.
알자베르 의장은 석유와 가스 기업 관계자가 COP28에 참석해 기후변화 관련 논의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실제 지난달 30일 개막 첫날부터 기후변화 대응 노력에 석유 회사들 의견도 함께 들어야 한다고 옹호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지난달 21일 한 온라인 행사에서 "지구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섭씨 1.5도 이내로 억제하기 위해 화석연료의 단계적 감축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과학은 없다"고 발언한 사실이 재조명되면서 뒤늦게 해명해야 했다.
이번 COP28에서 화석연료의 '감축' 대신 '전환기 공존'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힘을 얻게 된 데엔 우크라이나 전쟁이라는 돌발변수의 영향으로 보인다.
전쟁으로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면서 화석연료를 줄이고 '클린 에너지'로 전환하려던 서유럽권의 에너지 정책에 제동이 걸렸기 때문이다.
클린 에너지의 생산 단가와 효율이 미처 화석 연료를 압도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고 국가 안보까지 위태로워지자 '아직은 그래도 화석 연료'라는 주장이 자리잡을 환경이 조성됐다.
수하일 알마즈루에이 UAE 에너지장관은 4일 COP28 부대행사에 토론자로 참석해 '녹색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가격이 오르는 환경을 피하려면 화석에너지에 투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산유국들 역시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 전환에 과감히 투자하고 있다는 점도 함께 부각했지만 COP28을 '그린워싱'(위장 환경주의)의 장으로 활용한다는 지적은 여전하다.
행사장 인근에서 화석연료 사용의 완전 중단을 촉구하는 시위에 나선 환경단체들은 이번 회의에 석유, 가스, 석탄 등 관련 업계 인사가 대거 참석했다는 점을 규탄했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이번 회의에 화석연료 로비스트가 약 2천400명 등록했다는 통계도 나왔을 만큼 여느 때보다 기존 에너지 업계의 활동이 활발하다. 환경단체 활동가들은 화석연료 산업계가 현재 사업을 유지하려는 목적으로 COP28에서 협상을 주도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화석연료의 단계적 감축을 둘러싼 수많은 그린워싱을 목격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연합뉴스
화석연료의 병행 사용이 상당 기간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COP28을 계기로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의 기후 특사로 회의에 참석한 아델 알주베이르 외무 담당 국무장관은 5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뉴스와 인터뷰에서 "화석연료는 앞으로 수십 년 동안 우리와 함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에너지를 공급하지 않고 경제발전을 이룬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며 "석유와 가스와 같은 화석연료가 합리적 가격의 대표적 에너지원"이라고 설명했다.
세계 최대 규모의 송유관을 건설 중인 아프리카의 내륙국 우간다도 이번 회의에서 에너지 전환 계획을 발표하면서도 석유와 가스 부분이 여전히 재생에너지와 공존할 수 있으며 석유 생산이 필수 요소라고 강조했다고 알아라비야 방송이 전했다.
우간다가 토탈에너지와 함께 추진하는 틸렝가 지역의 유전 개발 사업과 탄자니아 항구로 이어지는 송유관 건설 사업이 완료되면 하루 24만 배럴에 달하는 석유 생산이 가능할 전망이다. 블룸버그 자체 집계에 따르면 이는 아프리카의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인 적도기니와 가봉 생산량보다 큰 규모다.
올해 COP28은 석유 수출 세계 6위인 UAE에서 열린 데다가 의장을 맡은 술탄 알자베르 산업첨단기술부 장관이 아부다비 국영석유공사(ADNOC) 최고경영자(CEO)이기도 해 시작부터 논란이 됐다.
알자베르 의장은 석유와 가스 기업 관계자가 COP28에 참석해 기후변화 관련 논의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실제 지난달 30일 개막 첫날부터 기후변화 대응 노력에 석유 회사들 의견도 함께 들어야 한다고 옹호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지난달 21일 한 온라인 행사에서 "지구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섭씨 1.5도 이내로 억제하기 위해 화석연료의 단계적 감축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과학은 없다"고 발언한 사실이 재조명되면서 뒤늦게 해명해야 했다.
이번 COP28에서 화석연료의 '감축' 대신 '전환기 공존'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힘을 얻게 된 데엔 우크라이나 전쟁이라는 돌발변수의 영향으로 보인다.
전쟁으로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면서 화석연료를 줄이고 '클린 에너지'로 전환하려던 서유럽권의 에너지 정책에 제동이 걸렸기 때문이다.
클린 에너지의 생산 단가와 효율이 미처 화석 연료를 압도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고 국가 안보까지 위태로워지자 '아직은 그래도 화석 연료'라는 주장이 자리잡을 환경이 조성됐다.
수하일 알마즈루에이 UAE 에너지장관은 4일 COP28 부대행사에 토론자로 참석해 '녹색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가격이 오르는 환경을 피하려면 화석에너지에 투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산유국들 역시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 전환에 과감히 투자하고 있다는 점도 함께 부각했지만 COP28을 '그린워싱'(위장 환경주의)의 장으로 활용한다는 지적은 여전하다.
행사장 인근에서 화석연료 사용의 완전 중단을 촉구하는 시위에 나선 환경단체들은 이번 회의에 석유, 가스, 석탄 등 관련 업계 인사가 대거 참석했다는 점을 규탄했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이번 회의에 화석연료 로비스트가 약 2천400명 등록했다는 통계도 나왔을 만큼 여느 때보다 기존 에너지 업계의 활동이 활발하다. 환경단체 활동가들은 화석연료 산업계가 현재 사업을 유지하려는 목적으로 COP28에서 협상을 주도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화석연료의 단계적 감축을 둘러싼 수많은 그린워싱을 목격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