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하락하자 가구당 자산도 감소…평균 5억2000만원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발표

거주 주택 자산 10% 하락
평균 부채는 0.2%포인트 증가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를 찾은 시민이 아파트단지를 바라보고 있다. 사진=뉴스1
지난해 부동산 경기가 침체한 영향으로 가구 평균 자산이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7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5억2727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 감소했다. 가계 자산이 감소세로 전환한 것은 2012년 통계 작성 후 11년 만에 처음이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4억3540만원으로 전년 대비 4.5% 줄었다.가구의 자산 보유액 감소는 집값 하락 영향이 컸다. 금융자산은 1억2587만원으로 3.8% 증가했지만, 실물자산은 4억140만원으로 5.9% 감소했다. 부동산 중 거주 주택이 10% 줄었다.

평균 자산은 50대 가구가 6억452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40대(5억6122만원), 60대 이상(5억4836만원), 39세 이하(3억3615만원) 등의 순이었다. 가구주 연령대가 높을수록 전체 자산 중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많았다.

가구주 종사상지위별로 보면 자영업자 가구 자산이 6억6432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상용근로자(5억6907만원), 무직 등 기타(4억6278만원), 임시·일용근로자(2억3152만원) 등이었다.소득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은 11억7458만원으로, 1분위 가구(1억7287만원)의 6.8배였다. 순자산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은 15억6085만원으로, 순자산 1분위 가구(3956만원)의 39배에 달했다.
사진=뉴스1
가구주는 여유자금 운용 방법으로 '저축과 금융자산 투자'를 선호한다는 응답 비율이 50.4%로 가장 많았다. '부동산 구입'은 23.9%, '부채 상환'은 21.6%였다. 금융자산 투자 시 선호하는 운용 방법은 예금이 88.8%로 가장 많았고, 주식(8.7%), 개인연금(1.5%) 등 순이었다.

1년 후 거주지역 주택가격 전망에 대해서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응답한 가구주가 전체의 42.7%였고, '하락할 것'이 18.6%, '상승할 것'이 17% 등으로 집계됐다. 소득이 증가하거나 여유자금이 생기면 부동산에 투자할 의사가 있는 가구주는 전년 대비 5.3%포인트 감소한 52.7%였다. 가장 선호하는 운용 방법은 아파트(61.2%)가 꼽혔다.올해 3월 말 기준 가구당 평균 부채는 9186만원으로 작년 대비 0.2% 증가했다. 금융부채는 6694만원으로 작년보다 1.6% 줄었고, 임대보증금은 2492만원으로 5.3% 증가했다. 부채가 있는 가구 비율은 62.1%로 작년보다 1.3%포인트 감소했다.

가구주 연령대별로 보면 40대 보유액이 1억2531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50대(1억715만원), 39세 이하(9937만원), 60대(6206만원)가 뒤를 이었다.

금융부채는 담보대출 5241만원, 신용대출 1001만원, 신용카드 관련 대출 63만원 등이다. 금융부채는 전체 가구 빚의 72.9%로, 작년에 비해 비중이 1.3%포인트 감소했다.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는 전체 가구의 55.7%였다. 이들은 평균적으로 금융부채 1억2010만원, 소득 7704만원, 자산 5억7631만원을 보유했다.금융부채 보유 가구 인식 조사 결과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는 67.6%로 전년에 비해 3.2%포인트 증가했다. '가계부채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5.5%로 작년보다 0.8%포인트 늘어났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