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22번 부담 없이 풀었다"…표준점수 수석 이동건 씨 인터뷰
입력
수정
"수학 22번을 봤을 때 케이스가 3개밖에 없다고 판단했고, 케이스를 실제로 적용해보니 그중 한 개가 성립해서 큰 부담이나 막힘없이 풀었습니다."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표준점수 전국 수석을 차지한 이동건 씨는 한국경제신문과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수학 22번은 풀이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도 오래걸린다고 해서 킬러문항 논란에 휩싸인 문제다.이 씨는 표준점수 총점 449점으로 전국 1등을 기록했다. 국어 150점, 수학 148점, 화학Ⅱ 80점, 생명과학Ⅱ 71점이다. 생명과학Ⅱ에서 1문제를 틀려서 만점을 놓쳤다.
그가 수능 만점자인 유리아(용인외고)씨보다 높은 표준점수를 받을 수 있었던 것은 과학탐구 Ⅱ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이번 수능에서 과탐Ⅱ를 선택한 학생과 과탐Ⅰ을 선택한 학생 간의 표준점수 차이는 12점에 달한다. 유일한 만점자인 유 씨는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을 선택해서 435점의 표준점수 받았다.
이 씨는 "예전부터 심화 과목에 대한 관심이 있었다"며 "목표로 하는 서울대의 경우 과탐Ⅱ과목을 두 개 선택할 시에 가산점 5점을 준다는 점도 한 이유"라고 말했다.그는 고등학교 시절 내신 공부를 열심히 했던 것이 수능 성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고 자평했다. 이 씨는 "국어 영역의 경우 기출 문제 분석도 중요하지만, 사람이 출제하는 것이기에 주관적인 판단 요소가 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고 그런 부분들을 파악하고자 다양한 문제들을 최대한 많이 풀어보려고 노력했다"며 "수학은 ‘내가 지금 이 문제에서는 어떤 개념을 활용하고 있나’ 하는 메타인지를 하면서 풀었던 것이 실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영어는 고등학교 때 단어를 하루도 빠짐없이 외웠기 때문에 구문 독해하는데 굉장히 편했다"며 "화학Ⅱ나 생명과학Ⅱ와 같은 탐구과목들은 수능 특강이나 수능 완성 교재로 개념 공부를 한 다음에 기출문제와 더불어 실전 모의고사를 매일 1~2세트씩 꾸준히 풀었던 게 많은 도움이 됐다"고 덧붙였다.
공부가 안될 때는 영화나 만화책을 보면서 스트레스를 풀었다. 이 씨는 "수학이나 과학탐구 과목을 공부하다가 지루하다 싶을 때는 음악을 들었는데 긴장이 풀리고 집중이 더 잘 됐다“며 ”가끔 공부가 잘 안될 때는 소설책이나 인문학책 등을 읽기도 했다“고 말했다.의사가 꿈인 그는 서울대 의예과를 지망할 계획이다. 지난해 수시 불합격 이후 두 번째 도전이다. 그는 "지난해 서울대 의예과에 불합격한 후 다른 대학에 가려고도 했지만 ‘고3 때 정시로는 내가 최선을 다하지 않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평생 마음속에 후회가 남을 것 같아 1년 동안 최선을 다해보자는 생각으로 재수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가 딱하나 틀린 문제는 생명과학Ⅱ의 복제 추론 문제였다. 이 씨는 "평소에도 좀 약한 유형의 문제였고 풀이 과정에서 정반대로 생각하고 풀어서 틀린 것 같다"고 말했다. 가장 어려운 과목으로는 국어영역의 언어와 매체, 문학을 꼽았다. 생명과학Ⅱ에서는 코돈 추론(한 특정한 아미노산을 지정하는 세 개의 염기 묶음을 뜻하는 코돈을 주어진 정보에 따라 추론하는 유형) 문제의 난도가 높았다고 말했다.
공교육만으로도 이러한 성과가 나올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냐는 질문에는 "재수 종합학원에 다니면서 이번 수능을 준비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 판단을 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답했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표준점수 전국 수석을 차지한 이동건 씨는 한국경제신문과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수학 22번은 풀이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도 오래걸린다고 해서 킬러문항 논란에 휩싸인 문제다.이 씨는 표준점수 총점 449점으로 전국 1등을 기록했다. 국어 150점, 수학 148점, 화학Ⅱ 80점, 생명과학Ⅱ 71점이다. 생명과학Ⅱ에서 1문제를 틀려서 만점을 놓쳤다.
그가 수능 만점자인 유리아(용인외고)씨보다 높은 표준점수를 받을 수 있었던 것은 과학탐구 Ⅱ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이번 수능에서 과탐Ⅱ를 선택한 학생과 과탐Ⅰ을 선택한 학생 간의 표준점수 차이는 12점에 달한다. 유일한 만점자인 유 씨는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을 선택해서 435점의 표준점수 받았다.
이 씨는 "예전부터 심화 과목에 대한 관심이 있었다"며 "목표로 하는 서울대의 경우 과탐Ⅱ과목을 두 개 선택할 시에 가산점 5점을 준다는 점도 한 이유"라고 말했다.그는 고등학교 시절 내신 공부를 열심히 했던 것이 수능 성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고 자평했다. 이 씨는 "국어 영역의 경우 기출 문제 분석도 중요하지만, 사람이 출제하는 것이기에 주관적인 판단 요소가 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고 그런 부분들을 파악하고자 다양한 문제들을 최대한 많이 풀어보려고 노력했다"며 "수학은 ‘내가 지금 이 문제에서는 어떤 개념을 활용하고 있나’ 하는 메타인지를 하면서 풀었던 것이 실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영어는 고등학교 때 단어를 하루도 빠짐없이 외웠기 때문에 구문 독해하는데 굉장히 편했다"며 "화학Ⅱ나 생명과학Ⅱ와 같은 탐구과목들은 수능 특강이나 수능 완성 교재로 개념 공부를 한 다음에 기출문제와 더불어 실전 모의고사를 매일 1~2세트씩 꾸준히 풀었던 게 많은 도움이 됐다"고 덧붙였다.
공부가 안될 때는 영화나 만화책을 보면서 스트레스를 풀었다. 이 씨는 "수학이나 과학탐구 과목을 공부하다가 지루하다 싶을 때는 음악을 들었는데 긴장이 풀리고 집중이 더 잘 됐다“며 ”가끔 공부가 잘 안될 때는 소설책이나 인문학책 등을 읽기도 했다“고 말했다.의사가 꿈인 그는 서울대 의예과를 지망할 계획이다. 지난해 수시 불합격 이후 두 번째 도전이다. 그는 "지난해 서울대 의예과에 불합격한 후 다른 대학에 가려고도 했지만 ‘고3 때 정시로는 내가 최선을 다하지 않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평생 마음속에 후회가 남을 것 같아 1년 동안 최선을 다해보자는 생각으로 재수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가 딱하나 틀린 문제는 생명과학Ⅱ의 복제 추론 문제였다. 이 씨는 "평소에도 좀 약한 유형의 문제였고 풀이 과정에서 정반대로 생각하고 풀어서 틀린 것 같다"고 말했다. 가장 어려운 과목으로는 국어영역의 언어와 매체, 문학을 꼽았다. 생명과학Ⅱ에서는 코돈 추론(한 특정한 아미노산을 지정하는 세 개의 염기 묶음을 뜻하는 코돈을 주어진 정보에 따라 추론하는 유형) 문제의 난도가 높았다고 말했다.
공교육만으로도 이러한 성과가 나올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냐는 질문에는 "재수 종합학원에 다니면서 이번 수능을 준비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 판단을 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답했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