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적 선택' 생각한 청소년 2년째 늘어…'중2' 가장 높아
입력
수정
'최근 1년 내 자살 생각해본 경험 있나' 조사에서
중학교 2학년, '15.8%'로 가장 높아
10명 중 4명은 '심각한 스트레스' 상태

질병관리청은 중·고등학교 5만여명을 대상으로 건강 상태를 조사한 결과, 최근 1년간 심각하게 자살을 생각한 학생이 전체의 14.3%로 집계됐다고 10일 밝혔다. 남학생(10.9%)보다 여학생(17.9%) 비율이 더 높았다. 학년별로는 중학교 2학년생의 자살 생각률이 15.8%로 가장 높게 집계됐다.조사가 처음 시작된 2005년부터 3년간 30%를 넘겼던 청소년 자살 생각률은 2008년 10%대로 하락한 뒤 대체로 내림세였다. 하지만 2020년 10.9%로 최저치를 찍은 후 이듬해부터 매년 오르고 있다.
같은 조사에서 '스트레스 인지율'은 41.3%에 달했다. 스트레스 인지율은 평소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또는 '많이' 느끼는 사람의 비율을 의미한다. 지난해 학생 10명 중 4명은 심각한 스트레스에 시달린 것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 최근 1년간 2주 내내 일상생활을 중단할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을 느낀 적이 있음을 의미하는 '우울감 경험률'은 28.7%, 자주 또는 항상 외로움을 느낀다고 응답한 학생의 비율은 18.9%였다. 두 수치도 모두 2020년부터 상승했다.앞서 정부는 5일 정신건강 정책 혁신 방안을 발표하며 초·중·고 학생에 대한 마음 건강 문제를 조기 발견해 상담하는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자살·자해 시도, 우울·불안 등 정신건강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생활밀착형 상담사를 늘릴 방침이다.
성진우 한경닷컴 기자 politpe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