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부동산PF 연체율 소폭 감소…예년 대비는 여전히 높아
입력
수정
한동안 치솟았던 증권사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이 감소세로 돌아섰다. 예년에 비해선 여전히 크게 높은 수치다. 당국은 PF 사업장 연착륙 조치를 이어갈 계획이다.
11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번 회의는 분야별 리스크 점검을 위해 올들어 여섯번째로 열렸다.
금융감독당국은 앞서 증권사들이 만기가 짧은 PF 관련 ABCP를 긴 대출로 바꾸도록 유도하고, 부실채권에 대해선 신속한 대손상각을 시행하도록 유도하는 조치를 여럿 내놨다. 증권사가 3개월 미만 부동산 PF-ABCP를 1년 이상 장기 대출로 전환할 경우 순자본비율(NCR) 위험값을 낮춰주고 있다. 증권사가 추정손실로 분류한 자산에 대해 대손상각을 독려하는 지도공문도 보냈다.
증권사 부동산 PF 연체율은 여전히 작년말(10.38%)보다는 3.85%포인트 높다. 증권사의 PF 연체율은 2021년말 3.71%에서 2022년말 10.38%로 급증한 이래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증권사 PF 연체율은 2020년 말엔 3.37%, 2021년 말엔 3.71%였다.지난 9월 말 기준 증권사의 부동산PF 대출잔액 규모는 6조3000억원으로 전 분기에 비해 약 8000억원 늘었다. 각 40조원대 규모인 은행·보험 등 여타 금융권에 비해선 잔액이 적은 편이지만 증권사의 경우엔 대부분 대출이 중후순위라 더 위험성이 높다는 게 중론이다. 중후순위 대출은 변제 우선순위가 선순위 대출에 밀리기 때문에 디폴트(채무 불이행)가 발생할 경우 돈을 회수할 가능성이 낮아서다. 특히 중소형 증권사들은 위험부담이 높은 사업초기 브릿지론과 중후순위 PF 사업 확장 익스포져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 전반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지난 9월말 기준 2.42%로, 6월말(2.17%) 대비 0.24%포인트 올랐다. 김 부위원장은 "금리와 부동산 경기 회복 지연 등 PF 사업여건 개선이 더딘 것은 사실이나, 금융기관의 PF 익스포져는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며 "PF 리스크가 금융시스템 전반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시장 상황을 계속 밀착 모니터링하는 한 편 금융업권의 손실흡수능력 확충에도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융감독당국은 증권사들의 외화 유동성 조달 능력에 대해선 "모든 해외 주가지수가 동시에 급락하는 경우라도 현재 증권사들이 보유 중인 외화 유동성으로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2021년부터 증권사별로 ELS 자체 헤지 관련 외화조달 비상계획 수립이 의무화된 만큼 증권사들이 해외 주가 하락으로 인한 마진콜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11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번 회의는 분야별 리스크 점검을 위해 올들어 여섯번째로 열렸다.
증권사 부동산PF 연체율 13.85%...작년 말 대비 3.5%포인트 높아
금융감독당국에 따르면 지난 9월말 기준 증권사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13.85%로 지난 6월말(17.28%)에 비해 3.43%포인트 낮았다. 작년말부터 증가세를 이어갔으나 3분기 들어선 규모가 줄었다. 금융위는 "증권사들이 우발채무인 증권사 보증 PF-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를 PF사업기간과 만기가 일치하는 대출로 바꾸고, PF 부실채권을 대손상각하는 등 리스크 관리 노력을 벌인 영향"이라고 설명했다.금융감독당국은 앞서 증권사들이 만기가 짧은 PF 관련 ABCP를 긴 대출로 바꾸도록 유도하고, 부실채권에 대해선 신속한 대손상각을 시행하도록 유도하는 조치를 여럿 내놨다. 증권사가 3개월 미만 부동산 PF-ABCP를 1년 이상 장기 대출로 전환할 경우 순자본비율(NCR) 위험값을 낮춰주고 있다. 증권사가 추정손실로 분류한 자산에 대해 대손상각을 독려하는 지도공문도 보냈다.
증권사 부동산 PF 연체율은 여전히 작년말(10.38%)보다는 3.85%포인트 높다. 증권사의 PF 연체율은 2021년말 3.71%에서 2022년말 10.38%로 급증한 이래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증권사 PF 연체율은 2020년 말엔 3.37%, 2021년 말엔 3.71%였다.지난 9월 말 기준 증권사의 부동산PF 대출잔액 규모는 6조3000억원으로 전 분기에 비해 약 8000억원 늘었다. 각 40조원대 규모인 은행·보험 등 여타 금융권에 비해선 잔액이 적은 편이지만 증권사의 경우엔 대부분 대출이 중후순위라 더 위험성이 높다는 게 중론이다. 중후순위 대출은 변제 우선순위가 선순위 대출에 밀리기 때문에 디폴트(채무 불이행)가 발생할 경우 돈을 회수할 가능성이 낮아서다. 특히 중소형 증권사들은 위험부담이 높은 사업초기 브릿지론과 중후순위 PF 사업 확장 익스포져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 전반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지난 9월말 기준 2.42%로, 6월말(2.17%) 대비 0.24%포인트 올랐다. 김 부위원장은 "금리와 부동산 경기 회복 지연 등 PF 사업여건 개선이 더딘 것은 사실이나, 금융기관의 PF 익스포져는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며 "PF 리스크가 금융시스템 전반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시장 상황을 계속 밀착 모니터링하는 한 편 금융업권의 손실흡수능력 확충에도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해외부동산 투자, 손실 나도 시스템 리스크 전이 가능성 낮아"
금융감독당국은 이날 금융권 해외 부동산 대체 투자도 점검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국내 금융회사의 총 해외 부동산 대체 투자 규모는 55조8000억원으로 금융회사 총 자산의 0.8% 수준이다. 김 부위원장은 이에 대해 "향후 글로벌 자산 가격이 떨어지는 등 부정적 충격으로 손실이 확대되더라도 금융권이 지금의 손실흡수 능력으로 충분히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자산 가치가 큰폭으로 추가 하락하는 등 엄격한 스트레스 조건을 더해 예상하더라도 내년 금융권 최대 손실액은 금융권 자기자본 대비 미미한 수준에 그칠 전망"이라고 했다. 각 사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손실이 개별 회사엔 건전성 우려를 일으킬 수 있으나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는 게 금융감독당국의 입장이다.금융감독당국은 증권사들의 외화 유동성 조달 능력에 대해선 "모든 해외 주가지수가 동시에 급락하는 경우라도 현재 증권사들이 보유 중인 외화 유동성으로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2021년부터 증권사별로 ELS 자체 헤지 관련 외화조달 비상계획 수립이 의무화된 만큼 증권사들이 해외 주가 하락으로 인한 마진콜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