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S, 中 바이오 업체와 최대 11조 ADC 기술이전 계약
입력
수정
BMS는 지난 11일(현지시간) 중국 시스트이뮨과 선급금 8억달러(약 1조원)를 포함해 최대 84억달러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BMS가 들여오는 파이프라인 ‘BL-B01D1’은 EGFR과 HER3 유전자 변이를 동시에 표적하는 이중항체와 3세대 페이로드(세포독성 약물)를 결합시킨 ADC 항암제다.ADC란 암 세포 표면에 발현된 특정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를 전달 매개체로 삼아 약물을 종양세포에 전달하는 기전의 의약품이다. BL-B01D1은 현재 중국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새밋 히라왓 BMS CMO(최고의학책임자)는 “시스트이뮨과의 협업은 면역치료를 넘어 환자 치료를 다양화하려는 BMS의 전략에 부합한다”며 “BL-B01D1은 우리의 ADC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고 고형암에 대한 미충족 의료수요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회사 홈페이지에 밝혔다.
최근 빅파마들의 R&D 투자금액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금리가 안정화되고, 바이오텍의 자금조달이 수월해지기 전인 지금이 빅파마가 기술을 저렴하게 도입할 수 있는 시기”라며 “지난 9월 누적 빅파마 합산 R&D 투자금액은 1236억달러로 지난해 연간 금액을 이미 넘어섰다”고 설명했다.그중에서도 가장 ‘핫’한 투자분야는 단연 ADC다. 올 3월에는 화이자가 미국 ADC 기업 시젠을 430억달러에 인수했고, 지난 10월에는 미국 머크(MSD)가 최대 220억달러에 일본 다이이찌산의 ADC 후보물질을 인수했다. 또 지난 11월 30일에는 애브비가 101억달러를 투자해 미국 ADC 전문기업 이뮤노젠을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허 연구원은 “ADC 기술수출 계약 중 빅파마의 비중은 2021년 22%에서 올해 45% 수준까지 치솟았다”며 “성공 가능성이 높은 임상 데이터를 보유한 ADC 기술 거래에는 웃돈이 더 붙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기업 중 에이비엘바이오도 이중항체 ADC를 개발 중이다. 이날 에이비엘바이오 관계자는 “3세대 페이로드와 회사의 이중항체를 결합한 이중항체 ADC를 개발 중”이라며 “2025년 임상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