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아이폰 사용 금지 확대…"까불면 퇴출시킨다" 경고
입력
수정
중국 정부가 애플 아이폰 등 외산 스마트폰 사용 금지령 확대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애플이 인도와 베트남 등으로 공장을 옮기며 탈중국에 앞장서자, 중국이 애플을 시장에서 내쫓을 수 있다고 경고하는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의 23개 성 가운데 최소 8개 성의 행정기관과 국영기업이 지난 한 두 달 사이 직원들에게 업무용으로 자국 브랜드 스마트폰을 사용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 같은 조치는 저장성, 광둥성, 장쑤성 등 경제력이 높은 곳을 비롯해 세계 최대 아이폰 공장이 있는 허베이성 등에서 이뤄졌다. 8개 성 주요 도시뿐만 아니라 소도시의 작은 공공기관 직원들에게도 구두로 같은 지시가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9월 베이징과 톈진 지역 공직자에게 내려졌던 외국 브랜드 스마트폰 금지령이 확대된 것이다. 당시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은 애플 등 외국 브랜드 휴대전화의 구매·사용을 금지하는 법률·법규와 정책 문건을 내놓지 않았다"고 부인했으나 거짓으로 드러난 셈이다. 공공부문 등에 제한된 금지조치지만 언제든지 이 같은 조치를 확대할 수 있다는 경고로 해석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얼마나 많은 정부 기관이 이런 지침을 내렸는지 불분명하지만, 중국에서 성장을 지속하려 애쓰는 삼성과 애플에 중대한 도전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애플의 전체 매출 가운데 중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20%에 달한다.
미국이 첨단기술 수출 통제 등 중국에 대한 견제 수위를 높이자 중국 정부는 자체 기술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최근 화웨이가 자국산 주요 부품을 사용한 스마트폰을 선보이는 등 성과를 내기도 했다. 중국은 과거 구글과 페이스북 등 미국 정보기술(IT) 기업들이 검열을 거부하자 자국 내 접속을 차단해 퇴출시켰다. 아마존도 중국에서 짐을 쌌고,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기업들은 중국에 진출도 못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의 23개 성 가운데 최소 8개 성의 행정기관과 국영기업이 지난 한 두 달 사이 직원들에게 업무용으로 자국 브랜드 스마트폰을 사용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 같은 조치는 저장성, 광둥성, 장쑤성 등 경제력이 높은 곳을 비롯해 세계 최대 아이폰 공장이 있는 허베이성 등에서 이뤄졌다. 8개 성 주요 도시뿐만 아니라 소도시의 작은 공공기관 직원들에게도 구두로 같은 지시가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9월 베이징과 톈진 지역 공직자에게 내려졌던 외국 브랜드 스마트폰 금지령이 확대된 것이다. 당시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은 애플 등 외국 브랜드 휴대전화의 구매·사용을 금지하는 법률·법규와 정책 문건을 내놓지 않았다"고 부인했으나 거짓으로 드러난 셈이다. 공공부문 등에 제한된 금지조치지만 언제든지 이 같은 조치를 확대할 수 있다는 경고로 해석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얼마나 많은 정부 기관이 이런 지침을 내렸는지 불분명하지만, 중국에서 성장을 지속하려 애쓰는 삼성과 애플에 중대한 도전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애플의 전체 매출 가운데 중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20%에 달한다.
미국이 첨단기술 수출 통제 등 중국에 대한 견제 수위를 높이자 중국 정부는 자체 기술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최근 화웨이가 자국산 주요 부품을 사용한 스마트폰을 선보이는 등 성과를 내기도 했다. 중국은 과거 구글과 페이스북 등 미국 정보기술(IT) 기업들이 검열을 거부하자 자국 내 접속을 차단해 퇴출시켰다. 아마존도 중국에서 짐을 쌌고,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기업들은 중국에 진출도 못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