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 악화에 고금리까지 '악재 투성이'…올해 부실징후기업 231곳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올들어 경기 냉각에 고금리까지 겹치며 부실 징후를 보이는 기업이 크게 늘어났다.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들이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한 결과 231개사를 부실징후기업(C·D등급)으로 선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전년 대비 46개사(24.9%) 늘어난 규모다. 평가대상 기업은 3578개로 전년보다 10개 줄었지만 부실징후기업은 오히려 늘었다. 부실징후기업 수는 2020년 157개로 저점을 찍은 뒤 2021년 160개, 2022년 185개 등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부실징후기업 중 C등급(경영 정상화 가능성 높음)은 전년보다 34개 증가한 118개사, D등급(경영 정상화 가능성 낮음)은 12개 늘어난 118개사로 집계됐다.

규모별로는 대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이상)이 9개사로 작년 2개에서 7곳 늘었났다. 대기업 중에선 C등급이 5개 추가된 7개사였으며, 작년과 재작년엔 없었던 D등급도 2개 발생했다. 중소기업은 222개사로 전년 대비 39개사 증가했다. C등급과 D등급이 111개씩이었다.

업종별로는 부동산 경기 침체의 직격탄을 맞은 부동산업에 속한 기업이 7개 늘어난 22개로 가장 많았다. 유통이 6개 증가한 19개였으며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금속가공업이 각각 18개로 그 뒤를 이었다. 금감원은 "작년에 이어 대내외 경기 부진과 원가 상승 등으로 기업 수익성 악화가 지속된데다 올해는 금리 상승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연체 발생 기업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2조7000억원 수준이며, 이 중 은행권이 73%를 차지했다. 추가로 쌓아야 하는 충당금은 3500억원 안팎이어서 국내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고 금감원은 추정했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신속한 워크아웃 및 부실 정리를 유도할 방침이다. C등급은 자구 노력을 전제로 기업구조조정촉진법 등에 따른 채권단 중심 워크아웃을 추진한다.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D등급은 법원 회생절차에 따른 구조조정을 원칙으로 한다. B등급이어도 금융 비용 상승으로 일시적 유동성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대해서는 신속금융지원이나 프리워크아웃 등을 통해 위기 극복을 지원할 계획이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