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연 악기' 비올라로 정상 오른 용재 오닐 “저를 일으켜 세운 건 실패였습니다”
입력
수정
비올리스트 리처드 용재 오닐 인터뷰비올라. 이 악기의 소리와 모양새, 쓰임새를 정확히 아는 사람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 그저 크기만 보고 ‘바이올린과 첼로 사이 어딘가의 음역을 내겠지’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유명한 솔로곡도 잘 안 떠오르고, 오케스트라 연주에서 튀는 악기도 아니니 잘해봤자 ‘명품 조연’이다.
세계적 실내악단 '타카치 콰르텟' 멤버이자
그래미상 '최우수 클래식 기악 독주' 수상자
오는 24·29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공연
피아니스트 임동혁, 테너 존노 등과 호흡
"단순히 예쁜 소리와 뛰어난 기교는 무의미…
음악에 대한 새로운 접근, 해석, 연주법 고민해야"
한국계 미국 비올리스트 리처드 용재 오닐(45·사진)은 이런 ‘조연’ 악기로 클래식 무대의 ‘주인공’이 된 연주자다. 2021년 미국 그래미 시상식에서 다닐 트리포노프, 이고르 레비트 등 쟁쟁한 피아니스트들을 제치고 ‘베스트 클래식 기악 독주’상을 거머쥐었다. 독주만 잘하는 게 아니다. 그가 이 시대 최고 실내악단 중 하나로 꼽히는 타카치콰르텟에서 다른 연주자들과 빚어내는 화음을 들어보면 무슨 얘기인지 알 수 있다. 그래서 19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만난 용재 오닐에게 연주자로 성공한 비결부터 물었다. 그는 “성공으로 가는 지름길은 없었다”며 “내 인생의 대부분은 실패의 반복이었다”고 말했다. 표정과 말투는 시종일관 온화했지만, 눈빛과 목소리엔 확신이 넘쳤다.
“누군가는 제가 처음부터 탄탄대로를 걸은 연주자인줄 알더군요. 그런데 아니에요. 전 2005년 타카치 콰르텟 멤버 오디션에서 무참히 떨어져 봤고, 그래미상 후보에도 이전까지 두 번이나 더 올랐지만 번번이 고배를 마셨습니다. 사람들은 흔히 성공과 우승에만 집중하지만 정말 중요한 건 제대로 실패를 경험하는 겁니다. 그래야만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끊임없이 배우고, 원하는 방향으로 계속해서 나아갈 수 있어요. 실패와 고난의 시간은 분명 저의 원동력이었습니다.” 한국에서 용재 오닐은 친숙한 연주자다. 6·25 전쟁 고아로 미국에 입양된 한국인 어머니와 아일랜드계 미국 조부모 아래에서 성장한 그의 사연은 많은 사람이 접한 이야기다. 줄리아드 음대 재학 시절 그의 스승이었던 한국인 바이올리니스트 강효 교수가 지어준 ‘용재’라는 한글 이름도 그대로 쓰고 있다. 한국과 여러모로 인연이 깊은 그는 바쁜 일정 중에도 매년 한국을 찾는다. 올해는 12월 24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피아니스트 임동혁과 듀오 콘서트를 하고, 29일 같은 곳에서 테너 존노, 기타리스트 박종호 등과 송년 음악회 ‘선물’을 연다. 그는 “오랜 친구 임동혁과는 슈베르트 아르페지오네 소나타, 라흐마니노프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등 낭만주의 작품을 선택했고, ‘선물’ 공연은 연말만 되면 유럽 전역에 울려 퍼지는 바로크 곡들로 레퍼토리를 채웠다”며 “한 작품 한 작품을 우리만의 해석과 색깔로 풀어낼 것”이라고 했다.
“음악은 정말 신비로운 예술이에요. 모든 곡이 하나의 작은 세계 같달까요. 12개 음표로 이뤄진 똑같은 악보라도 연주자가 어떤 감성과 캐릭터를 찾아내고, 어떤 상상을 하느냐에 따라 완전히 다른 음악으로 태어납니다. 때론 어떤 소리보다 차갑고, 때론 언 몸을 녹일 정도로 따뜻한 소리로 지루할 틈 없는 연주를 들려드릴 겁니다.” 세계 무대에서 누구보다 인정받는 비올리스트이지만, 그는 여전히 음악에 대한 고민으로 잠 못 이룬다고 했다. “다른 분야에선 하나의 문제에 대한 답이 하나일 수 있지만, 적어도 예술에서만큼은 아닙니다. 음악가는 한 물음에 대해 여러 개의 해답을 낼 줄 알아야 해요. 다양한 경로로 작품에 접근하고, 연주법에서도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계속 변화를 시도해야만 비로소 새로운 음악적 영감을 발견할 수 있어요. 이 과정 없이 단순히 뛰어난 기교와 예쁜 소리를 내는 건 제게 무의미한 일입니다. 그러니 시간이 부족할 수밖에요. 무대 위에선 즐거워야 하지만, 그 밑에선 끊임없이 괴로워야 하는 게 연주자의 숙명 아닐까요.”
용재 오닐은 인터뷰 내내 자신이 얼마나 비올리스트로서의 삶을 사랑하는지, 얼마나 음악에 몰두하고 있는지를 세세히 들려줬다. 그에게 궁극적 목표를 물었더니, 이런 답이 돌아왔다.
“마치 2시간의 마법처럼, 누군가의 삶을 한순간만이라도 더 황홀하게, 더 특별하게 만드는 연주자가 되고 싶어요. 나이 들면서 느낀 건 많은 사람이 매우 힘든 일상을 겪고 있단 겁니다. 감히 상상할 수 없을 만큼요. 그들에게 제 연주가 조금이나마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면, 그보다 더 제게 가치 있는 일은 없을 겁니다.”
김수현 기자 ksoo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