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동 네이처리퍼블릭 부지, 21년 연속 '가장 비싼 땅'
입력
수정
지면A24
내년 표준지·단독주택 공시價
㎡당 1억7540만원…0.7% 상승
이명희 회장 한남동 자택 285억

국토교통부가 20일 발표한 ‘2024년 전국 표준지·단독주택 공시가격’에 따르면 네이처리퍼블릭 부지(169.3㎡)의 내년 공시지가는 ㎡당 1억7540만원으로 올해보다 0.7% 상승했다. 지난해 8.5%, 올해 7.9% 하락한 뒤 소폭 상승으로 돌아선 것이다. 전체 면적 기준으로는 296억9522만원이다. 2004년부터 21년 연속 국내에서 가장 비싼 땅 자리를 지키고 있다.명동2가 우리은행 부지(392.4㎡)의 내년 공시지가는 ㎡당 1억7400만원으로 2위를 차지했다. 3위인 충무로2가의 옛 유니클로 부지(300.1㎡)는 ㎡당 1억6530만원으로 올해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충무로2가의 토니모리(71㎡) 부지가 4위로, 올해보다 0.8% 오른 ㎡당 1억5770만원이다.
단독주택 중에선 이명희 신세계 회장의 용산구 한남동 자택이 9년 연속 공시가격 1위 자리를 이어갔다. 이 회장 자택의 내년 공시가격은 285억7000만원으로, 올해(280억3000만원)보다 1.9% 올랐다. 이 단독주택(연면적 2861.8㎡)은 2016년 표준 단독주택으로 편입된 이후 공시가격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2위는 이해욱 DL(옛 대림그룹) 회장의 강남구 삼성동 주택(연면적 2617.4㎡)으로, 내년 공시가격이 186억5000만원이다. 올해보다 2.5% 상승했다. 3위는 삼성그룹 호암재단이 용산구 이태원동에 보유한 영빈관 승지원(연면적 609.6㎡)이다. 내년 공시가격은 171억7000만원으로 올해보다 2.2% 올랐다.공시가격 상위 단독주택 10곳의 순위는 지난해와 같았다. 10곳 중 7곳이 용산구에 있고 나머지는 강남구 삼성동 2곳, 서초구 방배동 1곳이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