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연, '상처 치유와 재생 비밀' 풀었다

상처 치유·재생 관여 섬유화 현상 기전 규명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이 생체조직의 미세환경을 제어해 상처 치유와 재생을 촉진할 새로운 원리를 밝혀냈다. 상처 치유 의약품 개발과 간·폐 등의 섬유화 질환 및 암 연구에 중요한 단서가 될 전망이다.

표준과학연구원은 바이오이미징팀이 피부 세포를 이용해 상처 치유와 재생에 관여하는 섬유화 현상 기전을 규명했다고 21일 밝혔다.

상처를 둘러싼 생체조직의 미세환경을 역학적으로 정밀 제어해 국소 부위에서 섬유화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도 제시했다. 섬유화는 세포를 둘러싼 세포외기질에 콜라젠 등이 분비돼 생체조직이 딱딱하게 굳어지는 현상이다.

상처에 생기는 딱지가 대표적이다.

정상적 수준이면 상처 치유와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잉되면 간이나 폐, 심장 등 장기가 굳어지는 질환을 초래하거나 피부경화증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섬유화는 섬유아세포가 근섬유아 세포로 분화하면서 발생하기 때문에, 섬유화를 조절하려면 이 분화가 발생하는 체내 환경 조건을 이해해야 한다.
연구팀은 광학 현미경으로 피부 세포외기질의 엘라스틴양이 20%일 때 섬유아세포 분화가 가장 활발한 것을 확인했다.

엘라스틴의 정상치는 10%로, 이 수치가 높아지면 생체조직의 탄성이 높아진다. 섬유화 현상 조절에 주변 미세조직의 성분 변화가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한 성과다.

연구팀은 단백질 정밀 분석을 통해 생체조직의 역학적 탄성 조절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밝혀내고, 이 단백질을 조절해 섬유아세포의 분화를 촉진할 수 있다는 것도 실험으로 증명했다.

김세화 바이오이미징팀장은 "이번 성과는 표준과학연의 독보적인 첨단 바이오 측정 기술 융합의 결실"이라며 "앞으로 피부 세포가 아닌 장기 세포 등을 활용해 다양한 섬유화 기전 확장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바이오머티리얼즈 리서치'에 지난 10월 온라인 게재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