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행, 암투병, 성차별…"산산조각 날 때마다 별을 바라봤다"
입력
수정
여성 과학자가 쓴 회고록…신간 '젊은 여성 과학자의 초상' 공립학교에선 똘똘하단 소리를 들으며 컸다. 그러나 매사추세츠공대(MIT)에 진학해 보니 온통 괴물들만 모여 있었다.
세계 곳곳에서 온 동기들과 말을 섞어보니, 감히 자신이 끼어들 수 없는 수준이었다.
그녀는 잠정적으로 결론을 내렸다. "그들을 피하자."
그녀, 린디 엘킨스탠턴은 미국 시골의 한 공립학교를 졸업했다.
세인트폴스쿨 등 명문 사립고교 출신들이 즐비한 곳에서 학업적·문화적 충격을 입학 첫해부터 느꼈다.
미적분을 아무렇지도 않게 해내는 괴물들과 경쟁해 물리학을 공부할 순 없었다. 그녀는 지구대기행성과학부를 선택했다.
1980년대 초반, MIT에서 여학생은 20% 남짓에 불과할 때였다.
앨킨스탠턴이 쓴 '젊은 여성 과학자의 초상'(흐름출판)은 역경을 딛고 과학자로 성공하게 된 한 여성의 이야기를 담은 회고록이다. 저자는 강고한 남성 중심 사회인 과학계에서 유리천장을 뛰어넘은 여성 과학자다.
그녀는 2023년 나사 디스커버리 프로젝트 중 가장 치열했던 프시케(소행성)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프시케 프로젝트는 소행성 탐사를 뼈대로 한 기획이다.
소행성은 행성이 생기는 과정에서 나온 잔해들이 일부 뭉쳐 이뤄진 천체로, 태양계 초기 형성과정에서 만들어진 후 변화를 겪지 않아 이 시기의 비밀을 간직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소행성을 철저히 조사한다면 지구 탄생의 비밀도 유추할 수 있다는 얘기다.
앨킨스탠턴은 프시케 프로젝트를 이끌며 2023년 과학자로서 최고의 한 해를 보냈다.
책은 저자의 어린 시절부터 프시케 프로젝트까지, 성공을 향해 나아가는 여정을 그린다. 그녀는 과학계에서 성공한 여성으로 자리매김했지만, 걸어온 길이 장밋빛만으로 채색됐던 건 아니었다.
오히려 그 반대였다.
그를 키운 건 8할이 역경이었다.
이는 책 제목에서부터 드러난다.
'젊은 여성 과학자의 초상'(원제: A Portrait of the Scientist as a Young Woman)은 제임스 조이스 소설 '젊은 예술가의 초상(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에서 따왔음이 분명하다.
조이스가 소설에서 예술가가 되기 위한 고난에 초점을 맞췄듯, 저자도 회고록에서 삶을 가로막은 역경에 주안점을 둔다. 유년의 기억을 트라우마로 몰아넣은 성폭력, 엄마의 성마름과 우울증, 학교와 직장에서 벌어진 빈번한 성차별, 우상 같던 오빠의 돌연한 죽음, 이혼, 그리고 암 투병 등 생애주기별로 찾아온 고난을 그녀는 모조리 견뎌냈다.
그 역경의 시간을 위로한 건 과학이었다.
저자는 우주를 연구하면서 "우리가 우주의 아주 작은 부분일 뿐이라는 깨달음"을 얻었다고 말한다.
긴 시간은 그 어떤 실패도 '작은 것'으로 만들고, 새롭게 출발할 수 있는 용기를 불어넣어 줬다.
"지질학과 방대한 지질학적 시간, 행성의 성장 과정은 인간이라는 존재의 취약성과 실패를 덜 위험한 것처럼, 그리고 결국 덜 중요한 것처럼 보이게 만든다…광대한 시간은 내 마음을 크게 위로한다. "
김아림 옮김. 392쪽. /연합뉴스
세계 곳곳에서 온 동기들과 말을 섞어보니, 감히 자신이 끼어들 수 없는 수준이었다.
그녀는 잠정적으로 결론을 내렸다. "그들을 피하자."
그녀, 린디 엘킨스탠턴은 미국 시골의 한 공립학교를 졸업했다.
세인트폴스쿨 등 명문 사립고교 출신들이 즐비한 곳에서 학업적·문화적 충격을 입학 첫해부터 느꼈다.
미적분을 아무렇지도 않게 해내는 괴물들과 경쟁해 물리학을 공부할 순 없었다. 그녀는 지구대기행성과학부를 선택했다.
1980년대 초반, MIT에서 여학생은 20% 남짓에 불과할 때였다.
앨킨스탠턴이 쓴 '젊은 여성 과학자의 초상'(흐름출판)은 역경을 딛고 과학자로 성공하게 된 한 여성의 이야기를 담은 회고록이다. 저자는 강고한 남성 중심 사회인 과학계에서 유리천장을 뛰어넘은 여성 과학자다.
그녀는 2023년 나사 디스커버리 프로젝트 중 가장 치열했던 프시케(소행성)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프시케 프로젝트는 소행성 탐사를 뼈대로 한 기획이다.
소행성은 행성이 생기는 과정에서 나온 잔해들이 일부 뭉쳐 이뤄진 천체로, 태양계 초기 형성과정에서 만들어진 후 변화를 겪지 않아 이 시기의 비밀을 간직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소행성을 철저히 조사한다면 지구 탄생의 비밀도 유추할 수 있다는 얘기다.
앨킨스탠턴은 프시케 프로젝트를 이끌며 2023년 과학자로서 최고의 한 해를 보냈다.
책은 저자의 어린 시절부터 프시케 프로젝트까지, 성공을 향해 나아가는 여정을 그린다. 그녀는 과학계에서 성공한 여성으로 자리매김했지만, 걸어온 길이 장밋빛만으로 채색됐던 건 아니었다.
오히려 그 반대였다.
그를 키운 건 8할이 역경이었다.
이는 책 제목에서부터 드러난다.
'젊은 여성 과학자의 초상'(원제: A Portrait of the Scientist as a Young Woman)은 제임스 조이스 소설 '젊은 예술가의 초상(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에서 따왔음이 분명하다.
조이스가 소설에서 예술가가 되기 위한 고난에 초점을 맞췄듯, 저자도 회고록에서 삶을 가로막은 역경에 주안점을 둔다. 유년의 기억을 트라우마로 몰아넣은 성폭력, 엄마의 성마름과 우울증, 학교와 직장에서 벌어진 빈번한 성차별, 우상 같던 오빠의 돌연한 죽음, 이혼, 그리고 암 투병 등 생애주기별로 찾아온 고난을 그녀는 모조리 견뎌냈다.
그 역경의 시간을 위로한 건 과학이었다.
저자는 우주를 연구하면서 "우리가 우주의 아주 작은 부분일 뿐이라는 깨달음"을 얻었다고 말한다.
긴 시간은 그 어떤 실패도 '작은 것'으로 만들고, 새롭게 출발할 수 있는 용기를 불어넣어 줬다.
"지질학과 방대한 지질학적 시간, 행성의 성장 과정은 인간이라는 존재의 취약성과 실패를 덜 위험한 것처럼, 그리고 결국 덜 중요한 것처럼 보이게 만든다…광대한 시간은 내 마음을 크게 위로한다. "
김아림 옮김. 392쪽.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