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주주 지분율 40% 넘는데도 PEF가 공격하니…" 재계 당혹
입력
수정
지면A8
"ESG 경영 취약한 기업MBK파트너스의 한국앤컴퍼니(한국타이어 지주회사) 공개매수는 실패로 끝났지만, 재계는 상당히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다. 해외 헤지펀드가 아닌 국내 최대 사모펀드(PEF)가 국내 1위 타이어 회사에 대해 지배구조 개선을 이유로 적대적 인수합병(M&A)을 시도한 것은 전례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최대주주 지분율이 높아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취약한 기업은 언제든 M&A의 타깃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언제든 타깃될 수 있어
차등의결권 도입 등 시급"
2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조현범 한국앤컴퍼니 회장은 회사 지분 42.03%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한 대기업집단 소속 지주회사에 대한 총수 평균 지분율이 23.2%(9월 말 기준)인 점을 감안하면 두 배가량 높은 수준이다. 3년 전 경영권 분쟁을 벌인 형제들의 지분율이 30.35%에 달해 공격의 지렛대가 되긴 했지만, 조 회장도 높은 지분율만 믿은 채 2차 공격 가능성을 전혀 예측하지 못했다는 후문이다.ESG 경영을 선택이 아니라 경영권을 지키기 위한 필수 사항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것도 이번 사태가 재계에 던진 메시지다. 경영권 공격의 핵심 빌미가 된 것은 조 회장의 사법 리스크다. 2020년 업무상 횡령 등으로 집행유예 4년을 선고받은 조 회장은 계열사 부당 지원 등으로 또 재판받고 있다. MBK파트너스는 이번 공개매수 이유에 대해 “ESG 경영은 거스를 수 없는 추세”라며 “그중에서도 거버넌스, 즉 기업 지배구조는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설명했다.
회사 실적이 아무리 좋아도 주주가치 제고에 힘쓰지 않으면 시장에서 외면받을 수도 있다. 한국타이어는 올해 사상 최대 실적이 예상되지만, 이번 사태 직전까지 주가는 제자리였다. 조 회장은 지난 21일 “IR(기업설명) 측면에서 소통이 부족했다”며 “주주들과 더 적극적으로 소통해 주주가치를 제고하겠다”고 말했다.
재계에선 건전한 지배구조 확립과 함께 경영권 방어 장치 도입도 서둘러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이번 일을 계기로 적대적 M&A 시도가 더 활발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게 재계의 우려다.대표적인 방어 장치로는 차등의결권이 거론된다. 미국, 일본 등은 ‘1주 1의결권’ 원칙의 예외를 인정해 경영권을 가진 대주주에게 주당 10배 안팎의 의결권을 주는 차등의결권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적대적 M&A 때 기존 주주에게만 저가로 신주인수선택권을 부여하는 ‘포이즌 필’도 주요 선진국이 도입한 경영권 방어 장치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