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 청년, 삶 만족도·행복 가장 높은 노동 시간은?
입력
수정
지역노동사회연구소, 청년 노동시간과 행복 수준 관계 분석청년들의 주당 노동시간이 길어질수록 직무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개인 행복도가 모두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15~40시간 일하는 청년들이 만족도와 행복도가 가장 높았다.
"주 15~40 시간 일할 때 가장 높아"
박주상 지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은 대졸 청년들의 노동시간이 행복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논문을 1일 한국노동연구원의 학술지 '노동정책연구'에 발표했다. 분석 대상은 2022년 공개된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경로 조사에 따른 34세 이하 대졸 청년 임금 노동자들이다.박 연구위원은 이들을 노동시간에 따라 △15시간 미만 △15∼40시간 △41∼52시간 △52시간 초과 네 그룹으로 나눈 후 구간별로 직무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개인 행복감 정도를 조사했다.
우선 근무 시간이 길수록 직무만족도가 떨어진다는 결과가 나왔다. 직무만족도에 대해 '매우 불만족' 또는 '불만족'이라고 말한 청년들의 비율이 15시간 미만과 15∼40시간에선 각각 7.4%였고, 41∼52시간이 13.9%, 52시간 초과는 17.0%였다. 반면 '매우 만족' 또는 '만족'이라고 답한 비율은 15∼40시간에서 59.4%로 가장 많고, 15시간 미만 52.3%, 41∼52시간 50.4%, 52시간 초과는 45.4%였다.
또한 삶의 만족도의 경우 가장 낮은 1~2점을 매긴 응답자가 15시간 미만 6.4%, 15∼40시간 4.4%, 41∼52시간 5.2%, 52시간 초과 5.9%였고, 가장 높은 6∼7점을 매긴 응답자 비율은 노동시간 구간별로 각각 33.6%, 43.9%, 37.9%, 34.7%였다. 즉, 초단시간 근무자, 장시간 근무자의 행복도가 낮고, 15~40시간 근무자의 행복도가 가장 높았던 셈이다.개인 행복도와 노동 시간 간 관계도 이와 비슷했다. 행복도를 '전혀 느끼지 않았다'에 해당하는 1∼2점을 매긴 응답자의 비율이 15시간 미만 6.6%, 15∼40시간 4.3%, 41∼52시간 5.0%, 52시간 초과 8.5%였다. '항상 느꼈다'에 해당하는 6∼7점 응답은 15시간 미만 26.7%, 15∼40시간 36.5%, 41∼52시간 31.3%, 52시간 초과 30.5%였다.
박 연구위원은 "노동시간이 증가할수록 직무만족도, 삶의 만족도, 개인 행복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며 "특히 비정규직보다 정규직 노동자에게서 노동시간 증가가 더 크게 행복 수준을 낮추고 있으므로 정규직 중심으로 나타나는 장시간 노동의 문제를 국제 수준에 맞게 조정해가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성진우 한경닷컴 기자 politpe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