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유엔 안보리 이사국 2년간 활동 시작
입력
수정
지면A6
한국이 1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으로서 공식 활동을 시작했다.
외교부는 이날 “향후 2년 동안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서 북한 문제는 물론 우크라이나 사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 등 국제 평화와 안보를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에 대해 안보리가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책임 있는 역할을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의 유엔 안보리 진출은 이번이 세 번째다.관건은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안보리 무력화 움직임 속에서 한국이 얼마나 역할을 할 수 있을지다. 안보리는 국제법적 구속력을 갖는 유일한 기관이지만, 거부권을 보유한 중·러가 북핵 도발에 눈감으면서 오래전부터 ‘무용론’이 제기돼왔다. 하지만 안보리 상임이사국(미국·영국·프랑스·중국·러시아)과 지속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창구를 확보한 데다 회의소집권을 가진 안보리 의장국도 순번에 따라 수임할 예정이라 북핵 논의를 주도할 기회를 얻었다는 의미가 있다.
특히 올해 상임이사국인 미국 및 2023~2024년 임기 비상임이사국인 일본과 함께 활동하게 돼 유엔 회원국 간 협력을 이끌어내는 데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을 전망이다.
맹진규 기자 maeng@hankyung.com
외교부는 이날 “향후 2년 동안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서 북한 문제는 물론 우크라이나 사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 등 국제 평화와 안보를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에 대해 안보리가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책임 있는 역할을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의 유엔 안보리 진출은 이번이 세 번째다.관건은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안보리 무력화 움직임 속에서 한국이 얼마나 역할을 할 수 있을지다. 안보리는 국제법적 구속력을 갖는 유일한 기관이지만, 거부권을 보유한 중·러가 북핵 도발에 눈감으면서 오래전부터 ‘무용론’이 제기돼왔다. 하지만 안보리 상임이사국(미국·영국·프랑스·중국·러시아)과 지속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창구를 확보한 데다 회의소집권을 가진 안보리 의장국도 순번에 따라 수임할 예정이라 북핵 논의를 주도할 기회를 얻었다는 의미가 있다.
특히 올해 상임이사국인 미국 및 2023~2024년 임기 비상임이사국인 일본과 함께 활동하게 돼 유엔 회원국 간 협력을 이끌어내는 데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을 전망이다.
맹진규 기자 mae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