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4일 발표한 '대한민국 금융소비자 보고서 2024'에 따르면 지난해 월평균 가구 소득은 511만원으로 2022년(489만원)보다 22만원 늘었다.
가구 소득에서 고정·변동 지출과 보험료, 대출 상환액을 제외하고 남은 금액을 저축 가능액으로 간주할 때 소득의 절반 이상이 남아 저축 여력이 높은 소비자는 28.1%로 2022년(25.1%)보다 3.0%포인트(p) 늘었다.
저축 여력이 낮은(0%∼30% 미만) 소비자도 같은 기간 32.3%에서 34.9%로 2.6%p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저축 여력이 중간 수준인(30∼50%) 소비자 비중은 29.9%에서 24.4%로 5.5%p 축소됐다.
연구소는 "가계 재정이 양극화되는 추세를 보였다"고 진단했다.
연구소에 따르면 금융소비자들의 월 소비·지출액은 지난해 평균 243만원으로 2022년(241만원)보다 2만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출이 늘었다고 응답한 항목은 식비, 공과금, 경조사 등이었으며 의류·잡화 구입, 국내 여행, 명품 구입 비용 등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는 응답이 많았다.
지난해 대출 보유율(49.2%)은 2022년(50.4%)과 거의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평균 대출 잔액(4천287만원→4천617만원)은 더 늘었다.
대출 보유자 중 최근 1년 내 대출을 중도 상환한 비율은 61.1%(전액 중도 상환 20.6%·일부 중도 상환 40.5%)로 집계됐다.
연구소는 "최근 2∼3년 전만 해도 '빚투', '영끌'처럼 대출 레버리징을 통한 자산 증식이 성행했으나 올해는 투자보다 대출 상환을 먼저 고려하는 디레버리징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향후 1년 내 신규 가입 의향이 있는 상품으로는 저축상품(44.7%)이 가장 높았다.
투자·신탁상품의 경우 향후 1년 내 가입 의향(38.8%)이 최근 1년 내 가입률(26.7%)보다 12.1%p 높아지면서 투자 심리가 회복되는 모습을 나타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권의 세대별 거래율에서 시중은행은 소비자 대부분이 거래하고 있어 이용률에 큰 변화가 없었으나 인터넷전문은행과 핀테크·빅테크 거래율은 지난해에 이어 상승세를 이어갔다.
특히, 베이비부머 세대(1965년생 이상)의 인터넷전문은행 거래율은 54.8%에서 65.5%로 1년 새 10.7%p 높아졌고, 핀·빅테크 거래율(87.7%) 또한 7.7%p올라 다른 세대보다 상승 폭이 컸다.
연구소는 "베이비부머 세대에서 모바일금융 거래가 증가한 것은 계좌조회·이체의 기본 서비스 이용이 더 활발해진 데다, 부가서비스 이용·이벤트 참여 등이 많아졌기 때문"이라며 "소비지출 관리, 자산관리 성향 진단 등 모바일을 통한 자산관리 서비스에 관심이 커진 영향도 있다"고 분석했다.
윤선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지난 보고서에서 언급된 초단기 투자, 가상자산의 인기는 잦아든 반면, 본인의 지식/경험 내에서 안정적으로 운용하려는 의향이 높아지는 등 금융소비자는 환경 변화에 민첩히 대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지난 한 해 베이비부머 세대의 모바일 유입이 가속화되면서 모바일로의 전환은 이제 거의 완성단계라고 해도 무리가 없을 정도"라며 "향후 소비자가 원하는 금융의 본질·가치가 모바일에서 어떻게 체감되는지에 따라 변화는 더욱 거세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보고서 작성을 위해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지난해 7월 5천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