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건서의 은퇴사용설명서] 책을 많이 읽고 내 책을 한 권 내보자
입력
수정
한경닷컴 더 라이프이스트

현재의 나와 10년 후 나의 차이는 내가 만나는 ‘사람들’과 내가 읽는 ‘책’에 달려있다고 한다. 만나는 사람도 내가 선택해야 하지만, 읽고 싶은 책도 내가 골라야 한다. 주변에 도서관이 있다면 매일 도서관에 출근 도장을 찍고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의 책을 읽다보면 어느 순간 세상이 달리 보이기 시작한다. 책을 많이 읽고, 제대로 읽으면 제대로 들을 줄 알게 된다. 그리고 세상의 이치를 깨닫고 사리분별이 가능하다. 제대로 된 단어를 사용하고 제대로 쓸 줄도 알게 된다. 나아가 제대로 말할 줄 알게 된다. 그러니 주저 말고 책을 읽어야 한다. 서권기 문자향(書卷氣 文字香)’이라는 문구는 ‘책을 읽어 교양을 쌓으면 몸에서 책의 기운이 풍기고 문자의 향기가 난다’는 뜻이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의 아름다운 향기가 널리 펴졌으면 좋겠다.세상 모든 위대한 사람들은 대부분 많은 책을 읽었다고 한다. 필자는 책을 읽거나 보는 것도 좋아하지만, 책을 사고 책을 모으는 것이 참 좋다. 책장에 책이 가득 꽂혀 있는 그 자체로 기분이 좋아진다. 구입한 책 대부분은 읽어보지만, 어떤 때는 목차만 읽고 책장에 진열할 때도 있다. 솔직히 고백하면, 읽기 위한 책도 있지만 폼 잡기 위한 책도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책값으로 들어간 돈만 하더라도 집 한 채는 사고도 남을 정도이다. 요즘에는 스마트폰 앱이 잘 되어 있어서 돈을 거의 들이지 않고도 보고 싶은 책을 얼마든지 볼 수 있는 세상이 되었다. 구독경제의 하나로 매월 1만 원정도의 돈만 결제하면 수십 권에서 수백 권의 책을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굳이 서점에 나가지 않아도 손안의 디지털 기기로 책을 읽을 수 있어서 시골에 살면서도 불편함을 느끼지 못한다.

필자도 노동법과 노사관계 전문서적과 내비게이터십 관련 책을 포함해서 26권의 책을 낸 경험이 있다. 특히 내비게이터십 책은 200권 정도의 리더십 관련 책을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나만의 이론을 만들어서 출간한 것이다. 책은 일단 많이 읽어 두어야 한다. 어느 정도 분량의 책을 읽어두면 소가 되새김을 하듯이 천천히 음미하게 되고, 결국 자신만의 책을 낼 수 있는 수준까지 올라가게 된다. 현재 89세인 이시형 박사는 70대부터는 매년 3~4권의 책을 내고 있다. 그것이 모여서 122권이 되고 덕분에 건강도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 글은 생각과 사상의 집합체이며 영향력이면서 힘이다.<한경닷컴 The Lifeist> 구건서 심심림 대표
"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