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 증시, 12일 CPI·PPI·수출입지표 동시 발표
입력
수정
지면A18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인 5일 중국 주요 증시는 하락 마감했다. 성장률 둔화 전망이 이어지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됐다는 평가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와 선전성분지수는 전일 대비 각각 0.85%, 1.07% 하락했다. 기술주 중심의 촹예반과 홍콩항셍지수도 각각 1.45%, 0.66% 내렸다.
중국 증시 부진은 성장률 전망이 둔화된 데다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이 꺾인 영향이 컸다. 이날 유엔은 중국의 성장률이 지난해 5.3%에서 올해 4.7%로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은행 역시 전날 중국 경제가 올해 4%대 중반 성장하는 데 그칠 것으로 전망하면서 부동산 경기 부진 지속 등을 이유로 꼽았다. 미국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호조를 보이면서 미국 중앙은행(Fed)이 금리 조기 인하에 나서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는 평가다.오는 12일에는 중국 국가통계국이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를, 중국 관세청이 12월 수출입 지표를 발표한다. 중국 CPI는 지난해 7월 전년 동월 대비 0.3% 하락했다가 8월 0.1%로 반등했다. 하지만 지난해 10월(-0.2%), 11월(-0.5%) 2개월 연속 다시 하락해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졌다. 12월 예상치도 -0.4%로, 마이너스 추세를 이어갔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수출입 지표도 좀처럼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수출입 부진은 한동안 계속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 중국 수출액은 지난해 5월(-7.5%)부터 10월(-6.4%)까지 6개월 연속 전년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부진을 이어갔다. 수입액은 지난해 11월 전년 대비 0.6% 감소하면서 10월(3.0%)의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했다.
베이징=이지훈 특파원 lizi@hankyung.com
중국 증시 부진은 성장률 전망이 둔화된 데다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이 꺾인 영향이 컸다. 이날 유엔은 중국의 성장률이 지난해 5.3%에서 올해 4.7%로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은행 역시 전날 중국 경제가 올해 4%대 중반 성장하는 데 그칠 것으로 전망하면서 부동산 경기 부진 지속 등을 이유로 꼽았다. 미국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호조를 보이면서 미국 중앙은행(Fed)이 금리 조기 인하에 나서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는 평가다.오는 12일에는 중국 국가통계국이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를, 중국 관세청이 12월 수출입 지표를 발표한다. 중국 CPI는 지난해 7월 전년 동월 대비 0.3% 하락했다가 8월 0.1%로 반등했다. 하지만 지난해 10월(-0.2%), 11월(-0.5%) 2개월 연속 다시 하락해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졌다. 12월 예상치도 -0.4%로, 마이너스 추세를 이어갔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수출입 지표도 좀처럼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수출입 부진은 한동안 계속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 중국 수출액은 지난해 5월(-7.5%)부터 10월(-6.4%)까지 6개월 연속 전년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부진을 이어갔다. 수입액은 지난해 11월 전년 대비 0.6% 감소하면서 10월(3.0%)의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했다.
베이징=이지훈 특파원 liz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