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CES 혁신상 휩쓴 K스타트업…이들이 우리의 미래다
입력
수정
지면A35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인 CES 2024에서 한국 스타트업들이 상을 휩쓸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9일(현지시간) 개막을 앞두고 CES 주최 기관인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가 선정한 CES 혁신상 수상기업 313개 중 42.8%인 134개가 한국 기업인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수상기업의 86.6%인 116개는 벤처기업이며, 이 중 97개는 창업한 지 7년이 안 된 스타트업이다. 무엇보다 고무적인 것은 이번 CES의 최대 화두인 인공지능(AI) 분야에서의 선전이다. 올해 신설된 AI 분야 혁신상 28개 중 절반 이상인 16개를 한국 스타트업이 차지했다. 마케팅 콘텐츠 창작 지원 AI부터 △웹툰 제작 지원 △호흡기 건강 분석 △창고 물류 관리 △금융 테이터 분석 등 AI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호평받았다. 빅테크의 전유물로 여겨지는 AI 분야에서 우리도 어깨를 나란히 할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적잖은 의미가 있다.AI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생태계 조성이 가장 중요하다. 세계 최강 미국의 AI 경쟁력은 실리콘밸리의 무수한 스타트업과 빅테크 간 유기적 협력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스타트업 활성화를 위해선 자본이 스타트업 시장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대기업을 ‘포식자’로 치부하는 편협한 기업관과 낡은 규제로 스타트업의 성장을 스스로 가로막고 있다. 대기업의 스타트업 인수가 활성화되면 스타트업에는 강력한 창업 유인책이 될뿐더러 매각 후 또 다른 창업에 나서게 하는 등 생태계 선순환에 기폭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대기업의 스타트업 인수를 골목상권 침해로 보는 부정적 인식 탓에 한국 스타트업의 인수합병(M&A)을 통한 자금 회수 비율은 2%대에 불과하다. 미국은 이 비율이 20%를 넘는다. 대기업 인수에 긍정 요인이 될 기업형 벤처캐피털(CVC)에 대한 외부 자금 출자 비율을 40%로 제한한 것 역시 스타트업 육성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혁신의 시대, 스타트업은 경쟁력의 뿌리가 될 소중한 자산이다. 이번 CES를 통해 K스타트업의 기술력은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규제 혁파와 제도 개선을 통해 그들의 성장 환경을 마련해주는 것이 정치권의 책무다.
국내 수상기업의 86.6%인 116개는 벤처기업이며, 이 중 97개는 창업한 지 7년이 안 된 스타트업이다. 무엇보다 고무적인 것은 이번 CES의 최대 화두인 인공지능(AI) 분야에서의 선전이다. 올해 신설된 AI 분야 혁신상 28개 중 절반 이상인 16개를 한국 스타트업이 차지했다. 마케팅 콘텐츠 창작 지원 AI부터 △웹툰 제작 지원 △호흡기 건강 분석 △창고 물류 관리 △금융 테이터 분석 등 AI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호평받았다. 빅테크의 전유물로 여겨지는 AI 분야에서 우리도 어깨를 나란히 할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적잖은 의미가 있다.AI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생태계 조성이 가장 중요하다. 세계 최강 미국의 AI 경쟁력은 실리콘밸리의 무수한 스타트업과 빅테크 간 유기적 협력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스타트업 활성화를 위해선 자본이 스타트업 시장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대기업을 ‘포식자’로 치부하는 편협한 기업관과 낡은 규제로 스타트업의 성장을 스스로 가로막고 있다. 대기업의 스타트업 인수가 활성화되면 스타트업에는 강력한 창업 유인책이 될뿐더러 매각 후 또 다른 창업에 나서게 하는 등 생태계 선순환에 기폭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대기업의 스타트업 인수를 골목상권 침해로 보는 부정적 인식 탓에 한국 스타트업의 인수합병(M&A)을 통한 자금 회수 비율은 2%대에 불과하다. 미국은 이 비율이 20%를 넘는다. 대기업 인수에 긍정 요인이 될 기업형 벤처캐피털(CVC)에 대한 외부 자금 출자 비율을 40%로 제한한 것 역시 스타트업 육성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혁신의 시대, 스타트업은 경쟁력의 뿌리가 될 소중한 자산이다. 이번 CES를 통해 K스타트업의 기술력은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규제 혁파와 제도 개선을 통해 그들의 성장 환경을 마련해주는 것이 정치권의 책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