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4800 찍더니 또 후퇴…실적 가이던스, 엉망?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입력
수정

12일(미 동부시간) 아침 발표된 미국의 12월 생산자물가(PPI)는 시장의 흥분을 자아냈습니다. 어제 나온 소비자물가(CPI)와는 달리 '디플레이션'을 가리킬 정도로 낮게 나온 덕분입니다. 폭등하던 S&P500 지수는 신고점인 4800을 향해 질주했습니다. 하지만 4802를 찍은 직후 다시 후퇴했습니다. 유가가 급등하며 인플레이션 불안감을 자극한 데다, 어닝시즌에 돌입한 기업들은 줄줄이 부정적 가이던스를 내놓았습니다.

CPI와 PPI가 나오면 이달 말 발표되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추정이 가능해집니다. 골드만삭스는 "PPI와 CPI 발표를 근거로 우리가 추정한 12월 근원 PCE 물가는 전달보다 0.17%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년 대비로는 2.93%로 나온다"라고 발표했습니다. 근원 PCE 물가는 지난 11월 전월 대비 0.1% 상승, 전월 대비 3.2% 상승했었습니다.

투자자들은 흥분했습니다. 이런 물가가 이어진다면 3월에는 기준금리 인하가 확실시된다는 얘기들이 튀어나왔습니다. 골드만삭스는 근원 PCE 물가가 2.5%에 달하면 Fed가 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으로 봅니다. 판테온 이코노믹스의 이안 셰퍼드슨 이코노미스트는 "어제 CPI와 오늘 PPI가 나온 뒤 근원 PCE 물가는 작년 4분기에 연율 2.0% 상승했다고 확신한다. Fed의 작업은 완료되었다. 지금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라고 밝혔습니다.
게다가 밤새 중국에서도 디플레이션이 나타났습니다. 중국의 12월 PP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 하락해서 15개월 연속 마이너스 영역에 머물렀습니다. CPI도 전년 동월 대비 0.3%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3개월 연속 내림세입니다. 이는 중국 경제에는 좋지 않은 소식이지만, 미국과 세계에는 물가를 안정시킬 수 있는 디플레이션이 수입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하락세를 보이던 주가지수 선물도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아침 9시 30분 뉴욕 증시의 주요 지수는 0.3% 안팎의 오름세로 출발했습니다. 20분 뒤인 오전 9시 50분께 S&P지수는 4800을 돌파했습니다. 다만 흥분은 거기까지였습니다. 4802을 터치한 직후 매물이 쏟아져 나왔고 지수는 보합권으로 떨어졌습니다. 결국, 다우는 0.31% 하락했고, S&P500 지수는 0.08%, 나스닥은 0.02% 강보합세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 전선에 불안감을 일으키는 요인입니다. 사실 오늘 PPI가 디플레이션을 보인 이유는 대부분 에너지 가격 하락 덕분입니다.
게다가 홍해 사태로 인한 공급망 혼란이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테슬라는 어제 부품 공급 지연이 길어진다는 이유로 이번 달 베를린 공장에서 2주 동안 생산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볼보자동차도 홍해 위기로 공급망이 흔들리면서 다음주 벨기에 공장 가동을 중단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영국의 식료품 유통업체 테스코의 켄 머피 CEO는 "고객들이 더 높은 가격을 보게 될 수 있다"라고 경고했습니다.
1월 첫째 주 홍해에 입항하는 선박 수는 약 220척으로 전년 대비 41% 감소했습니다. 이들이 아프리카 대륙을 우회할 경우 약 3000~3500해리(약 6000km)를 더 가야 합니다. 14노트의 속도로 가면 10일~2주까지 더 걸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아시아-유럽 노선의 컨테이너 운임은 12월부터 3배 이상, 세계 평균 임금은 2배 증가했습니다.
BMO 캐피털마켓의 벤 제프리 채권 전략가는 "시장이 3월 인하에 대해 베팅하지 않도록 설득할만한 것은 거의 없다"라면서도 "홍해의 지정학적 위험 고조와 내재된 헤드라인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을 잊지 말아야 한다"라고 밝혔습니다.
두 번째는 어닝 시즌입니다. 오늘 △JP모건(-0.7%) △뱅크오브아메리카(-1.06%) △웰스파고(-3.34%) △씨티(+1.04%) 등 미국 4대 은행의 실적 발표로 4분기 어닝시즌이 본격적으로 막을 올렸습니다.
실적은 전반적으로 괜찮았습니다. JP모건은 4분기 주당순이익(EPS)이 3.04달러로 월가 예상 3.32달러보다 낮았습니다. 하지만 지역은행 파산으로 연방예금보험공사(FDIC)가 부과한 29억 달러의 특별 예금보험료와 7억4300만 달러 투자손실을 빼면 주당 3.97달러를 벌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웰스파고는 19억 달러의 예금보험료를 냈지만 4분기 이익이 1년 전보다 9% 증가했고 EPS도 1.29달러로 예상치 1.17달러보다 많았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이익은 31억4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56% 감소했습니다. EPS는 주당 35센트로 예상 68센트보다 훨씬 적었지만 역시 특별예금보험료(21억 달러)와 리보 금리 폐지에 따른 수수료(16억 달러) 등이 없었다면 주당 70센트에 달했을 것으로 봤습니다.
문제는 이들의 가이던스였습니다. 핵심 수익원인 올해 순이자 이익(NII)에 대해 JP모건은 2023년과 비슷할 것으로 봤지만 웰스파고는 평균 대출의 소폭 감소, 소비자 금융 및 예금 감소, 금리 하락 등을 이유로 7~9% 감소할 것으로 봤습니다. 씨티그룹도 완만하게 줄어들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금리 하락으로 대출 이자가 감소할 것이라는 겁니다. 대출을 늘리면 되겠지만 경기 둔화가 예상되는 올해 대출 환경도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JP모건조차도 매출은 감소할 수 있다고 예측했습니다.
은행만 그런 건 아닙니다. 델타항공은 4분기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기록했고 EPS는 1.28달러로 예상 1.16달러를 웃돌았습니다. 에드 베스티안 CEO는 "계속되는 강력한 여행 수요가 올해 매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회사는 올해 연간 이익을 주당 6~7달러로 제시해 이전 7달러 이상에서 하향 조정했습니다. 이에 주가는 8.99%나 폭락했습니다.
유럽에서도 4분기 매출이 7% 감소한 버버리(-6.02%)가 "올해 연간 실적이 이전 예상보다 낮을 것"이라고 밝히면서 주가가 폭락했습니다. LVMH와 케어링, 리치몬트 등 명품업체들도 동반 하락했습니다.
팩트셋은 "4분기에 부정적인 EPS 지침을 발표한 S&P500 기업의 수와 비율 모두 5년 및 10년 평균보다 높다"라고 밝혔습니다. 현재까지 111개 기업이 4분기 EPS 가이던스를 내놓았는데, 72개는 부정적이었고 39개만이 긍정적이라는 겁니다. 부정적 가이던스를 내놓은 기업 수는 5년 평균 57개, 10년 평균 62개를 넘습니다. 기업 비율도 65%(111개 중 72개)로, 이는 5년 평균 59%, 10년 평균 63%보다 높습니다. 반면, 긍정적 가이던스를 내놓은 기업 수는 5년 평균 40개에 미치지 못하고, 10년 평균인 36건보다는 많습니다.
아길라 CIO는 월가의 컨센서스는 인플레이션이 계속 하락하면서 미국 경제가 연착륙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 시장이 생각하는 데로 이번 4분기가 아마도 가장 불확실할 어닝시즌이 될 것이고, 1분기와 그 이후로 들어가면서는 이익의 긍정적인 성장이 나타날 것으로 봤습니다.
그는 또 다른 시나리오는 인플레이션이 다시 상승하는 것을 제시하면서 이렇게되면 기업 매출은 개선되겠지만 마진은 나빠질 수 있어서 주가에 더 많은 변동성을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아길라 CIO는 마지막 시나리오는 여전히 미국 경제가 경기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라며 "만약 그렇다면, 악화하는 경제 활동이 기업의 이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면서 이익은 지금 시장 예상보다 분명히 훨씬 더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17일에는 Fed의 경기 진단 보고서인 베이지북(Beige Book)이 공개됩니다. 1월 30~31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쓰일 기본 데이터입니다.
어닝시즌도 이어집니다. 여전히 금융사가 많습니다. ▲16일 모건 스탠리, 골드만삭스 ▲17일 US뱅크콥, 찰스 슈왑 ▲18일 JB헌트, M&T 은행, 트루이스트 ▲19일 스테이트스트리트, 슐럼버제이, 코메리카뱅크 등이 실적을 공개합니다.
의회는 작년 말 보훈, 교통, 농업, 주택 에너지 등 예산은 오는 19일까지 연장하고, 국방 외교 등 나머지는 내달 2일까지 임시 예산안을 편성해놓은 상태입니다. 연방정부 폐쇄를 피하려면 12개 예산법안 중 4개는 19일까지, 나머지 8개 예산법안은 다음 달 2일까지 통과시키거나 혹은 임시 예산안을 연장해야 합니다. 그러나 마이크 존슨 하원 의장은 또 다른 임시예산을 편성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상태입니다.BMO는 "연방정부 폐쇄가 발생하면 수십만 명의 공무원이 해고된다. 다만 폐쇄 이후 다시 고용되기 때문에 경제적 영향은 일시적이고 미미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문제는 Fed입니다. 다음 달 2일 예산이 떨어지는 부처에는 상무부, 노동부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들이 폐쇄되면 CPI, PPI, 소매판매 등 주요 데이터도 나오지 않습니다. BMO는 "Fed가 셧다운 기간 금리를 인하할지 확실하지 않다. 주요 경제 데이터 발표가 중단되면 정책 입안자들은 사실상 눈이 먼 상태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럴 때는 Fed가 잠시 결정을 멈추는 게 옵션일 수 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