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칼럼] “통화정책 부담 덜었지만…정치적 불확실성 계속 주시해야”
입력
수정
※한경 마켓PRO 텔레그램을 구독하시면 프리미엄 투자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습니다. 텔레그램에서 ‘마켓PRO’를 검색하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전반에 걸쳐 통화긴축 사이클은 종료되고 있지만, 미국 중앙은행(Fed)을 중심으로 기준금리 인하 개시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하다.
물론 얼마나 금리를 올릴 것인가를 두려워했던 지난해를 상기해 보면 분명 고무적이고 행복한 고민이다. 즉 성격이 달라진 만큼 기대를 다소 벗어나더라도 금리를 다시 올려야 하는 환경이 아니라면 시장이 크게 실망하거나 두려워하지 않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실제로 컨센서스(추정치 평균)를 웃돈 미국의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금리인하 논의에 대해 강한 어조로 선을 그은 한국은행 총채의 발언도 시장의 자기 실현적 예언에 묻혀 별다른 영향이 없는 듯하다.물론 미국이나 한국 모두 물가는 대체로 안정되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정작 고민은 시장이 선반영한 속도에 과연 부합하고 있느냐다. 한국과 미국 사이에서 굳이 차이를 찾자면 한국은 올해 대략 2~3회의 금리 인하를 전망되지만, 미국은 5~6회가 기대된다는 점이다. 미국의 물가 하락이 보다 절실해 보인다. 이러한 측면에서 바라보면 서비스 가격의 강한 저항이 나타나며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둔화속도가 느려진 게 확인된 12월 미국 CPI는 다소 실망스러운 부분도 적지 않다.
한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발생한 태영건설이 워크아웃 개시에 성공해 일단 시간을 벌며 시장 전반의 문제로 파급되지는 않아 단호한 한은의 입장도 설득력은 있다. 하지만 소비가 부진하고 향후 정치·정책 향방에 따른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에서 한은의 입장은 지금 당장 기준금리 인하를 논의하기에 이를 뿐, 향후 인하 가능성 자체를 부정하는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통화 긴축에 시달린 지난해와 달리 비교적 여유로워진 환경으로 시장의 포용력은 커졌다. 다만 확률은 낮더라도 파급력은 큰 꼬리 위험에 대해서는 계속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올해의 경우 글로벌 선거 이벤트로 인한 지정학적 위험이나 디레버리징으로 인한 신용 위험 등이 이 카테고리 안에 있을 것으로 보인다.이런 관점에서 가뜩이나 우크라이나와 중동에서 전쟁이 계속되는 가운데, 미중간 대리전 양상을 보인 대만 총통 선거 결과의 여파를 확인해야 할 것 같다. 지난 13일 치러진 제16대 대만 총통 선거(대선)에서 집권 민주진보당(민진당)의 친미·독립 성향의 라이칭더 후보가 승리했다. 다만 함께 치러진 입법위원(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진당은 과반 의석을 확보하지 못해, 향후 국정운영의 부담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대만은 안보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며, 한국도 그 영향권 안에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대만에서 전쟁이 발생하거나 강한 봉쇄가 전개될 경우 전세계에 2008년 금융위기에 비견되거나 넘어서는 경제 충격을 야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이 경우의 확률은 상당히 낮다. 긴장감만 높아지거나 현재 상황이 유지될 확률을 더 높게 나타났기에, 미리 겁먹을 필요는 없다.그럼에도 주시해야 하는 사실은 대만의 지정학적 위험은 반도체를 위시한 IT 공급망 훼손으로 이어져 한국에 상당한 부담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이다. 대만 선거 결과가 극단적인 위험으로 확산되지 않더라도 대선을 앞둔 미국과 경기 후퇴에 몰린 중국간의 견제와 갈등이 계속될 불안의 빌미를 줄 가능성은 적지 않다.
다행히 반도체 경기가 반등하고 수출이 개선되며 한국의 경기가 추가적으로 위축될 위험은 다소 낮아졌다. 하지만 글로벌 반도체 업체 재고는 지난 3분기 기준 130일치로 결코 적지 않다. 따라서 당분간 대만 선거 여파와 반도체 주식 반응을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소재용 신한은행 S&T센터 팀장
글로벌 전반에 걸쳐 통화긴축 사이클은 종료되고 있지만, 미국 중앙은행(Fed)을 중심으로 기준금리 인하 개시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하다.
물론 얼마나 금리를 올릴 것인가를 두려워했던 지난해를 상기해 보면 분명 고무적이고 행복한 고민이다. 즉 성격이 달라진 만큼 기대를 다소 벗어나더라도 금리를 다시 올려야 하는 환경이 아니라면 시장이 크게 실망하거나 두려워하지 않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실제로 컨센서스(추정치 평균)를 웃돈 미국의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금리인하 논의에 대해 강한 어조로 선을 그은 한국은행 총채의 발언도 시장의 자기 실현적 예언에 묻혀 별다른 영향이 없는 듯하다.물론 미국이나 한국 모두 물가는 대체로 안정되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정작 고민은 시장이 선반영한 속도에 과연 부합하고 있느냐다. 한국과 미국 사이에서 굳이 차이를 찾자면 한국은 올해 대략 2~3회의 금리 인하를 전망되지만, 미국은 5~6회가 기대된다는 점이다. 미국의 물가 하락이 보다 절실해 보인다. 이러한 측면에서 바라보면 서비스 가격의 강한 저항이 나타나며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둔화속도가 느려진 게 확인된 12월 미국 CPI는 다소 실망스러운 부분도 적지 않다.
한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발생한 태영건설이 워크아웃 개시에 성공해 일단 시간을 벌며 시장 전반의 문제로 파급되지는 않아 단호한 한은의 입장도 설득력은 있다. 하지만 소비가 부진하고 향후 정치·정책 향방에 따른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에서 한은의 입장은 지금 당장 기준금리 인하를 논의하기에 이를 뿐, 향후 인하 가능성 자체를 부정하는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통화 긴축에 시달린 지난해와 달리 비교적 여유로워진 환경으로 시장의 포용력은 커졌다. 다만 확률은 낮더라도 파급력은 큰 꼬리 위험에 대해서는 계속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올해의 경우 글로벌 선거 이벤트로 인한 지정학적 위험이나 디레버리징으로 인한 신용 위험 등이 이 카테고리 안에 있을 것으로 보인다.이런 관점에서 가뜩이나 우크라이나와 중동에서 전쟁이 계속되는 가운데, 미중간 대리전 양상을 보인 대만 총통 선거 결과의 여파를 확인해야 할 것 같다. 지난 13일 치러진 제16대 대만 총통 선거(대선)에서 집권 민주진보당(민진당)의 친미·독립 성향의 라이칭더 후보가 승리했다. 다만 함께 치러진 입법위원(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진당은 과반 의석을 확보하지 못해, 향후 국정운영의 부담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대만은 안보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며, 한국도 그 영향권 안에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대만에서 전쟁이 발생하거나 강한 봉쇄가 전개될 경우 전세계에 2008년 금융위기에 비견되거나 넘어서는 경제 충격을 야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이 경우의 확률은 상당히 낮다. 긴장감만 높아지거나 현재 상황이 유지될 확률을 더 높게 나타났기에, 미리 겁먹을 필요는 없다.그럼에도 주시해야 하는 사실은 대만의 지정학적 위험은 반도체를 위시한 IT 공급망 훼손으로 이어져 한국에 상당한 부담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이다. 대만 선거 결과가 극단적인 위험으로 확산되지 않더라도 대선을 앞둔 미국과 경기 후퇴에 몰린 중국간의 견제와 갈등이 계속될 불안의 빌미를 줄 가능성은 적지 않다.
다행히 반도체 경기가 반등하고 수출이 개선되며 한국의 경기가 추가적으로 위축될 위험은 다소 낮아졌다. 하지만 글로벌 반도체 업체 재고는 지난 3분기 기준 130일치로 결코 적지 않다. 따라서 당분간 대만 선거 여파와 반도체 주식 반응을 지켜봐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