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아파트 청약자 59%는 '수도권'…"올해도 수도권 강세"
입력
수정
직방, 2023년 청약 접수 건수 분석
경기 30%, 서울 24%로 전국 과반 비율

15일 부동산 플랫폼 업체 직방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269개 분양 사업지에 순위 내 청약 통장을 사용한 총청약 접수 건수는 112만8540건이었다. 2022년 429개 사업지 102만1502건보다 10.48% 상승한 수치다.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에서 사용된 청약통장이 전년보다 대폭 늘어났다. 지난해 전체 청약자의 59%(66만3068건)가 수도권에 청약통장을 사용해 2022년 41%(41만4652건)보다 18%포인트(p) 늘었다. 전국 아파트 순위 내 청약자 10명 중 6명은 수도권을 선택한 것이다.
같은 기간 지방은 2022년 59%(60만6850건)에서 2023년 41%(46만5472건)로 청약수요가 급감하면서 1년 만에 청약수요의 주도권이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옮겨갔다. 지난해 2~3분기 수도권 위주로 매매시장 회복이 일시적으로 발현됐고, 1·3대책으로 수도권 주요 지역이 규제지역에서 해제되면서 분양권 전매가 자유로워진 영향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지난해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역전된 청약수요의 흐름이 2024년 분양시장에서도 이어질 것"이라며 "다만 주변시세 대비 분양가의 적정성을 잘 살피고, 지역 호재, 역세권 및 건설사 브랜드에 따라 차별화된 청약수요의 양극화에 주목해 현명한 청약통장 사용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