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함께 잘 살자고?"…'대탈주' 감행한 中 고소득자들
입력
수정
중국 떠나는 이민자 수 3년간 110만명 육박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유엔 통계를 인용해 최근 중국을 떠나는 이민자 수가 급증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유엔에 따르면 2019년까지 중국의 순 이민자 수는 연평균 19만 1000명을 기록했다. 코로나19가 창궐한 뒤 급격히 증가했다. 2022년부터 2년 연속 순 이민자 수는 31만명을 돌파했다. 2019년 이후 총이민자 수는 110만명을 기록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중국을 떠나는 인구 대다수가 중산층이었다. 숙련공을 비롯해 중소기업 소유주, 고학력 사무직 등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국의 엄격한 규제로 경제적 기회를 박탈당한 탓에 이민에 대한 욕구가 가장 큰 계층이다. 이들 대부분은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인접국으로 건너갔다. 중국 문화가 이미 자리 잡은 데다 중국 이민자들에 대한 차별이 덜한 곳이다.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며 중국을 이탈하는 인구가 급증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애플을 비롯한 다국적 기업들은 생산기지를 중국에서 동남아시아로 옮기고 있다. 이에 따라 기술을 갖춘 숙련공들도 중국을 빠져나와 동남아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애플은 2022년 공급망에서 인도 협력사를 14곳, 베트남은 19곳 추가했다.실제 베트남의 지방 도시 박닌에서는 중국 이민자를 위한 서비스가 점차 확대되는 모양새다. 중국 앱인 위챗을 활용한 지급결제 서비스를 비롯해 대다수 상점에서 중국어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박닌은 애플이 완제품 조립 공장을 새로 지은 곳이다. 애플 공장이 들어선 뒤 이 지역 중간관리자급 직원이 평균 연봉은 다른 지역의 16배를 웃돈다.
일본도 경쟁 대열에 합류했다. 일본 현지에 500만엔을 투자하는 이민자에겐 영주권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 지난해 1~9월 이 방식을 통해 일본에 정착한 중국 이민자 수는 2768명으로 집계됐다. 2022년에는 2576명이 국경을 넘었다. 캐나다의 경우 밴쿠버 인구 중 5분의 1이 중국인으로 이뤄졌다. 고소득 계층이 급속도로 유입되자 부동산 가격이 치솟는 부작용도 발생했다.블룸버그는 "중국 내에서 중산층으로 살아남기 점점 더 어려워지면서 이민자 수가 급증했다"며 "중국 경제뿐 아니라 사회문화적 요인도 이민을 촉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