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늬만 2차전지' 투자주의보…금감원, 가짜 신사업 대거 발각
입력
수정
주가를 띄우기 위해 2차전지, 바이오 등 신사업을 허위로 내세운 상장사들이 금융감독원에 대거 적발돼 검찰에 넘겨졌다.
금감원은 신규 사업을 가장한 불공정거래를 조사해 7개사를 검찰에 넘겼다고 밝혔다. 기존 사업과는 연관성이 거의 없는 유망 신사업에 진출하는 것처럼 꾸며 투자자를 속이고, 이 과정에서 관계자들이 부당 이득을 취득한 혐의다. 금감원은 작년부터 주가 부양을 위한 ‘무늬만 신사업’ 기업을 집중 단속하고 있다.
신사업 진출 소식에 A사 주가가 약 석 달 만에 230% 이상 급등하자 혐의자들은 CB를 주식으로 바꿔 대량 매도해 100억원이 넘는 부당이득을 봤다. 이 기업은 이후 주가가 폭락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실제 치료제 사업은 추진된 바가 없었다”며 “신규 선임했던 사외이사 중엔 이사회 참석률이 1%를 밑돌아 사실상 경영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난 이도 있었다”고 했다.
실제 사업 추진 능력이 없는 사실상 페이퍼컴퍼니에 대해 투자를 하면서 유망 산업 관련 사업체에 대규모 투자를 하는 것처럼 꾸민 사례도 있었다. 금감원은 "상장사들의 신규사업 추진 내역과 향후 계획 등을 꼼꼼히 확인해 투자 의사 결정에 참고하라"며 "정기보고서를 확인하면 조달자금의 사용 내역, 신규사업 세부 추진현황, 미추진 사유 등을 확인할 수 있다"고 했다.
허위 신사업과 횡령·배임 혐의가 함께 발생하는 경우도 많았다. 실제로는 추진 여력이 없는 신규 사업 투자·진출 계획을 과장 홍보하고, 일반 투자자 대상 수백억원대 유상증자를 벌인 뒤 조달 자금을 신사업과는 무관한 용도로 유용한 사례도 나왔다. 일부 기업은 신사업 용도로 허위 자금조달 계획을 내고 실제 사업 추진은 계속 미루기도 했다. 금감원은 허위 신사업 기업에 대해 무자본 인수합병(M&A) 세력 연루 가능성을 집중 조사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무자본 M&A 세력의 경영권 인수 과정이나 인수 직후에 허위 신사업 발표가 발생하거나, 허위 신사업 발표 직전 최대주주가 변경된 사례가 여럿 나왔다”고 했다.
금감원은 조사1~3국을 총동원해 '무늬만 신사업' 조사를 벌일 방침이다. 금감원은 “사업 테마별로 중점 조사국을 지정해 집중 조사할 것"이라며 "해외 금융당국, 식약처·관세청 등 국내외 유관기관과 협조해 신규사업 실체를 끝까지 추적조사할 것"”이라고 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금감원은 신규 사업을 가장한 불공정거래를 조사해 7개사를 검찰에 넘겼다고 밝혔다. 기존 사업과는 연관성이 거의 없는 유망 신사업에 진출하는 것처럼 꾸며 투자자를 속이고, 이 과정에서 관계자들이 부당 이득을 취득한 혐의다. 금감원은 작년부터 주가 부양을 위한 ‘무늬만 신사업’ 기업을 집중 단속하고 있다.
통신기기 제조사가 '바이오 진출'…주가 230% 올랐다 폭락
통신기기 제조업체인 A사는 2020년 코로나19 백신 치료제 신규 사업에 허위 진출했다가 덜미를 잡혔다.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을 추진한다며 복수의 바이오업계 경력 연구원을 사외이사로 선임하고 정관에 바이오사업을 추가했다. A사 임원 등 불공정거래 혐의자들은 차명투자조합 등의 명의로 A사의 전환사채(CB)를 미리 확보해둔 상태였다.신사업 진출 소식에 A사 주가가 약 석 달 만에 230% 이상 급등하자 혐의자들은 CB를 주식으로 바꿔 대량 매도해 100억원이 넘는 부당이득을 봤다. 이 기업은 이후 주가가 폭락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실제 치료제 사업은 추진된 바가 없었다”며 “신규 선임했던 사외이사 중엔 이사회 참석률이 1%를 밑돌아 사실상 경영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난 이도 있었다”고 했다.
MOU·신규 투자 명목…사업할 것처럼 꾸미기도
이외에 유망 신규 사업 관련 기관과 업무협약(MOU)만 맺고 대대적으로 홍보한 뒤 실제 본 사업 계약은 체결하지 않은 사례도 발각됐다. 법적 이행의무가 없는 MOU를 활용해 투자자의 오해를 유도했다는 얘기다.실제 사업 추진 능력이 없는 사실상 페이퍼컴퍼니에 대해 투자를 하면서 유망 산업 관련 사업체에 대규모 투자를 하는 것처럼 꾸민 사례도 있었다. 금감원은 "상장사들의 신규사업 추진 내역과 향후 계획 등을 꼼꼼히 확인해 투자 의사 결정에 참고하라"며 "정기보고서를 확인하면 조달자금의 사용 내역, 신규사업 세부 추진현황, 미추진 사유 등을 확인할 수 있다"고 했다.
허위 신사업과 횡령·배임 혐의가 함께 발생하는 경우도 많았다. 실제로는 추진 여력이 없는 신규 사업 투자·진출 계획을 과장 홍보하고, 일반 투자자 대상 수백억원대 유상증자를 벌인 뒤 조달 자금을 신사업과는 무관한 용도로 유용한 사례도 나왔다. 일부 기업은 신사업 용도로 허위 자금조달 계획을 내고 실제 사업 추진은 계속 미루기도 했다. 금감원은 허위 신사업 기업에 대해 무자본 인수합병(M&A) 세력 연루 가능성을 집중 조사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무자본 M&A 세력의 경영권 인수 과정이나 인수 직후에 허위 신사업 발표가 발생하거나, 허위 신사업 발표 직전 최대주주가 변경된 사례가 여럿 나왔다”고 했다.
주요 허위 테마는 이차전지·바이오·코로나19
금감원에 따르면 허위 신규사업은 증시 테마주 양상에 따라 매년 달라졌다. 2020년 이전엔 바이오 분야 신사업을 허위로 거론하는 기업이 많았고,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인 2020~2021년엔 마스크나 치료제 등 코로나19 관련 허위 신사업이 주를 이뤘다. 2022년 이후엔 이차전지 사업이 불공정거래에 주로 활용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허위 신사업을 통한 불공정행위는 부당이득 규모가 100억원 이상인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부당이득 규모가 크고, 회사가 부실화되기도 쉬워 투자자 피해가 막심하다"고 했다.관련 기업이 결국 상장폐지되거나 거래정지되는 경우가 많다는 설명이다. 금감원은 허위 신사업 기업 13건에 대해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조치를 완료한 7건을 비롯해 총 20건 중 18건이 코스닥 상장사였다. 20개사 중 10개사는 상장폐지되거나 매매거래가 정지된 상태다.금감원은 조사1~3국을 총동원해 '무늬만 신사업' 조사를 벌일 방침이다. 금감원은 “사업 테마별로 중점 조사국을 지정해 집중 조사할 것"이라며 "해외 금융당국, 식약처·관세청 등 국내외 유관기관과 협조해 신규사업 실체를 끝까지 추적조사할 것"”이라고 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