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대신 저출생…與野 용어 바꾼 까닭

출산은 '여성만 책임' 인식 키워
18일 여야가 나란히 인구 감소 대책을 내놓으면서 대중에 익숙한 ‘저출산’ 대신 ‘저출생’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출산이라는 단어가 여성에게 책임을 돌리는 인식을 갖게 한다’는 지적 때문이다.

최근 수년간 여성계를 중심으로 저출산이라는 용어를 저출생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출산이라는 단어 자체가 ‘아이를 낳는다’는 의미인 까닭에 인구 감소의 원인이 아이를 낳는 주체인 여성에게 돌아간다는 이유에서다. ‘태어나다’라는 의미인 출생을 사용하면 인구 감소의 원인을 주거, 안전, 교육 등 사회 전반을 아우르며 찾을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된다. 출산율의 대표적 지표인 합계출산율은 가임기 여성(15~49세)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출생아 수를 뜻한다. 출생률은 그해에 태어난 신생아 수를 인구로 나눈 지표다.정부가 사용하는 공식 용어는 여전히 저출산이다. 대통령 직속 기관 명칭도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다. 하지만 기획재정부와 보건복지부 등 정부 기관들은 작년 1월 이후 1년간 각종 보도자료에 54회에 걸쳐 저출생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저출산과 혼용하고 있다.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출생률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대통령실에서 출산율 대신 출생률이란 단어를 사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