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 '천장' 뚫은 美日 증시…바닥 향하는 中과 대비
입력
수정
미국 다우·S&P, 일본 닛케이 등 신고가 행진…항셍은 12% 빠져 새해 들어 미국과 일본 주요 주가지수가 신고가를 경신하며 고공행진하는 반면 중국 증시는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22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138.01포인트(0.36%) 오른 38,001.81로 마감, 2거래일 연속 신고가를 경신한 것은 물론 사상 처음으로 3만8천 선을 돌파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종가도 전장보다 10.62포인트(0.22%) 오른 4,850.43으로 사상 최고치를 재경신했고, 나스닥지수는 4.5%만 더 오르면 2021년 11월 코로나19 유동성 장세 속에 기록했던 역대 최고점에 도달하게 된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금리 인하 속도가 시장 기대보다 빠르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은 주가에 부담 요인이지만, 경제 연착륙 가능성과 업황 개선 기대감 등이 최근 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해 하반기 상승세가 부각됐던 소형주 중심의 러셀 2,000은 올해 들어 2.16% 하락한 반면 나스닥이 2.32% 오르는 등 인공지능(AI) 붐과 반도체 업황 개선 전망 속에 빅테크(거대 기술기업)를 비롯한 기술주들이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
엔비디아 주가는 올해 들어서만 20.4%나 올랐다.
다우존스와 S&P500의 올해 상승률은 각각 0.83%, 1.69%다. 22일 일본 증시의 대표 주가지수인 닛케이225 평균주가(이하 닛케이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62% 오른 36,546에 장을 마감하며 '거품(버블) 경기' 이후 약 34년 만에 최고치를 새로 썼다.
닛케이지수는 새해 들어 9.21% 올랐으며 미국 증시 훈풍과 반도체 관련주 매수세, 소액투자 비과세제도(NISA) 도입, 기업 실적 및 거버넌스 관행 개선 등이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수년간 약세장이 이어지고 있는 중국 본토와 홍콩 주가지수는 새해 들어서도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중국 주식이 2016년 이후 최악의 출발 상황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22일 상하이·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 지수는 1.56% 빠지며 약 5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고, 홍콩 항셍 지수도 2.27% 빠지며 2009년 이후 최저에 근접했다.
항셍지수 종가는 14,961.18로 15,000선 아래로 내려갔다.
올해 들어 22일까지 홍콩 항셍지수는 12.24%, 홍콩에 상장된 중국 본토 기업들로 구성된 홍콩H지수(HSCEI)는 13.29% 빠졌다.
항셍지수는 새해 15거래일 가운데 13거래일이나 마이너스를 기록했으며 아시아 주요 지수 가운데 가장 부진하다.
상하이종합지수와 선전성분지수도 올해 7.35%, 12.33% 하락한 상태다.
중국은 지난해 5.2%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 당초 목표치 '5% 안팎'은 달성했지만 부동산 경기 침체와 내수 부진 속에 '제로 코로나' 해제에 따른 경기 반등 기대에는 미치지 못했다는 평가다.
이러한 가운데 인민은행은 전날 디플레이션 우려에도 불구하고 사실상의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동결했고, 리창 총리는 최근 중국이 대규모 부양책 없이 경기 확장을 이룰 수 있다고 밝혀 시장 실망감을 키웠다.
외국인 자금 이탈도 최근 중국 증시에 부담 요인으로 꼽힌다. 코스피 역시 새해 들어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증시를 2,655.28로 마감했던 코스피는 22일 종가 2,464.35를 기록해 2,500선 아래로 내려온 상태다.
올해 들어 하락률은 7.19%다.
코스피 하락에는 시장금리와 환율 상승, 지정학적 불안, 중국 경기 불확실성, 이차전지 관련주 약세 등이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23일 아시아 주요 증시는 국가별로 엇갈린 흐름이다.
한국시간 오전 10시 31분 기준 닛케이지수는 전장 대비 0.51% 오르며 신고가를 다시 한번 새로 쓸 기세이고, 코스피는 0.21% 올랐다.
항셍지수는 0.4% 오르며 15,000선 위로 올라온 반면 상하이종합지수(-0.91%) 선전성분지수(-0.96%) 등 중국 본토 지수는 마이너스다.
전날 유럽 주가지수는 상승 마감했다.
영국 FTSE100 지수(+0.35%), 독일 DAX 지수(+0.77%), 프랑스 CAC40 지수(+0.56%)는 물론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 50지수(+0.71%)도 플러스였다. 다만 유럽 주요 주가지수 역시 올해 들어 마이너스다.
/연합뉴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종가도 전장보다 10.62포인트(0.22%) 오른 4,850.43으로 사상 최고치를 재경신했고, 나스닥지수는 4.5%만 더 오르면 2021년 11월 코로나19 유동성 장세 속에 기록했던 역대 최고점에 도달하게 된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금리 인하 속도가 시장 기대보다 빠르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은 주가에 부담 요인이지만, 경제 연착륙 가능성과 업황 개선 기대감 등이 최근 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해 하반기 상승세가 부각됐던 소형주 중심의 러셀 2,000은 올해 들어 2.16% 하락한 반면 나스닥이 2.32% 오르는 등 인공지능(AI) 붐과 반도체 업황 개선 전망 속에 빅테크(거대 기술기업)를 비롯한 기술주들이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
엔비디아 주가는 올해 들어서만 20.4%나 올랐다.
다우존스와 S&P500의 올해 상승률은 각각 0.83%, 1.69%다. 22일 일본 증시의 대표 주가지수인 닛케이225 평균주가(이하 닛케이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62% 오른 36,546에 장을 마감하며 '거품(버블) 경기' 이후 약 34년 만에 최고치를 새로 썼다.
닛케이지수는 새해 들어 9.21% 올랐으며 미국 증시 훈풍과 반도체 관련주 매수세, 소액투자 비과세제도(NISA) 도입, 기업 실적 및 거버넌스 관행 개선 등이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수년간 약세장이 이어지고 있는 중국 본토와 홍콩 주가지수는 새해 들어서도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중국 주식이 2016년 이후 최악의 출발 상황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22일 상하이·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 지수는 1.56% 빠지며 약 5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고, 홍콩 항셍 지수도 2.27% 빠지며 2009년 이후 최저에 근접했다.
항셍지수 종가는 14,961.18로 15,000선 아래로 내려갔다.
올해 들어 22일까지 홍콩 항셍지수는 12.24%, 홍콩에 상장된 중국 본토 기업들로 구성된 홍콩H지수(HSCEI)는 13.29% 빠졌다.
항셍지수는 새해 15거래일 가운데 13거래일이나 마이너스를 기록했으며 아시아 주요 지수 가운데 가장 부진하다.
상하이종합지수와 선전성분지수도 올해 7.35%, 12.33% 하락한 상태다.
중국은 지난해 5.2%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 당초 목표치 '5% 안팎'은 달성했지만 부동산 경기 침체와 내수 부진 속에 '제로 코로나' 해제에 따른 경기 반등 기대에는 미치지 못했다는 평가다.
이러한 가운데 인민은행은 전날 디플레이션 우려에도 불구하고 사실상의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동결했고, 리창 총리는 최근 중국이 대규모 부양책 없이 경기 확장을 이룰 수 있다고 밝혀 시장 실망감을 키웠다.
외국인 자금 이탈도 최근 중국 증시에 부담 요인으로 꼽힌다. 코스피 역시 새해 들어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증시를 2,655.28로 마감했던 코스피는 22일 종가 2,464.35를 기록해 2,500선 아래로 내려온 상태다.
올해 들어 하락률은 7.19%다.
코스피 하락에는 시장금리와 환율 상승, 지정학적 불안, 중국 경기 불확실성, 이차전지 관련주 약세 등이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23일 아시아 주요 증시는 국가별로 엇갈린 흐름이다.
한국시간 오전 10시 31분 기준 닛케이지수는 전장 대비 0.51% 오르며 신고가를 다시 한번 새로 쓸 기세이고, 코스피는 0.21% 올랐다.
항셍지수는 0.4% 오르며 15,000선 위로 올라온 반면 상하이종합지수(-0.91%) 선전성분지수(-0.96%) 등 중국 본토 지수는 마이너스다.
전날 유럽 주가지수는 상승 마감했다.
영국 FTSE100 지수(+0.35%), 독일 DAX 지수(+0.77%), 프랑스 CAC40 지수(+0.56%)는 물론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 50지수(+0.71%)도 플러스였다. 다만 유럽 주요 주가지수 역시 올해 들어 마이너스다.
/연합뉴스